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B광역시의 대학생 417명에게 부모화경험척도, 심리적안녕감척도, 대인관계능력척도를 실시하여, 상관분석, 위계적회귀분석, Baron & Kenny의 검증방법, Sobel test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화 경험은 심리적 안녕감 및 대인관계능력과 부적 상관관계, 심리적 안녕감은 대인관계능력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능력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도 함께 논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추후 상담자 교육 및 대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서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irst,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arentification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cond, the mediation effect b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417 university students in a metropolitan city B were administered parentific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in correlational and regressional analyses, Baron & Kenny’s test, and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arentification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pectivel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ly,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significan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ly,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partly media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