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광해군대 외교노선을 놓고 벌어진 조정 논쟁의 핵심은 왕과 신료들 사이의 충돌이었다. 1589년의 기축옥사 이후로 처절하게 전개된 당쟁의 현실을 고려할 때, 5년간(1618-1622)에 걸쳐 벌어진 논쟁에서 신료들이 당색을 초월해 한 목소리로 국왕에 대항한 것은 매우 특이한 현상이었다. 왕과 신료들이 이렇게 첨예하게 대립한 이유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대책을 서로 다르게 뽑았기 때문이다. 왕과 신료들 모두 후금의 조선 침공 가능성을 부정하지는 않았으나, 그런 상황에 대처하는 해결방안이 서로 달랐다. 국왕 광해군은 후금에게 조선 침공 빌미를 주지 않기 위해서는 누르하치와 부단히 대화를 전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에, 신료들은 명과의 동맹관계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명이 배후에서 후금을 견제하는 한 후금은 조선을 독자적으로 침공하기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이런 식으로 왕과 신료들은 외교노선 문제를 놓고 사사건건 대립했으며 상대방을 의견을 나라를 망치는 생각으로 격하게 몰아붙였다. 신료들은 왜 그렇게 당색을 초월해 한 목소리로 국왕과 대립했을까? 왕과 신료들의 이런 첨예한 대립은 당시 조선사회의 어떤 특성을 반영해 주는 것일까? 어떤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인간이라면 이해득실을 계산하는 것이 인지상정이며, 그런 계산은 또한 정세판단과도 긴밀한 관계에 있다. 그렇다면 왕과 신료들은 왜 그렇게 다른 주장을 했으며, 정세판단을 달리했으며, 이해득실에서 공통점을 거의 갖고 있지 않았을까? 이 논문은 이런 일련의 문제에 대해 분석적인 답을 제공한다.


The most significant attribute of the dispute over foreign policy in King Kwanghae’s court was the confrontation between King court officials. Considering that factional strife intensified violently since the treason case of 1589, it is significant that all factions lined up with each other and stood against the throne throughout the five-year dispute (1618-1622). The main reason for the confrontation was that King Kwanghae and his officials drew up very different plans to cope with the situation. Neither of them denied the possibility of a Manchu invasion of Chosŏn, but the problem was how to cope that possibility. King Kwanghae maintained that Chosŏn should prevent any possible military conflict with the Manchu. To this end, he stressed communications with Nurhaci. Court officials, on the other hand, contended that being allied with the Ming would be the best strategy because they believed that the Manchu would not be capable of invading Chosŏn as long as the Ming-Chosŏn alliance remained solid. For this reason, they strongly opposed all policies that might do damage relations with the Ming: they would not even consider a policy of secret communications with the Manchu. Why did the court officials, regardless of factional affiliation, unanimously oppose the king? What does this imply about the nature of Chosŏn society of the time? It is human nature to calculate loss and gain before making an important decision, and such calculations are usually based on one’s judgment of the situation and one’s interests. So then, what made King Kwanghae and his court officials view the situation differently and not share a common set of interests? This article provide analytic answers to those qu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