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여말선초 지배층의 달라진 민의 인식과 이를 통한 대민시책을 특히 문자를 활용한 교화 정책의 측면에서 확인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여말선초의 지배층의 민의 인식이 달라진다. 정도전은 민은 국가의 근본인 동시에 군주의 하늘이라고 하여 군주보다 우위에 있는 민을 상정하고 천(天)이 곧 민이라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국가의 피지배층인 하층민 노비에 대한 인식도 변하여, 노비는 천민(天民). 국민 인식이 생겼다. 노비를 포함한 피지배층 전체에 대한 인식이 그 이전과 달라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민 인식 변화는 생산력 발전을 통한 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연관된다. 당시 농업기술의 발달로 생산력이 발전하고, 조세 부담이 완화되어 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었다. 조선 왕조는 유학의 예치와 덕치로 민을 다스렸다. 형률 위주의 강압적이고 외제적인 방법이 아니라 인정(仁政)에 기반을 둔 자율적인 민의 지배를 도모하였다. 이는 민의 의식의 성장과 조응하면서 민의 국가에 대한 자발적인 복종을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조선은 문자를 통한 교화책을 제시하여 『삼강행실도』를 간행하였고, 형률서를 이두문으로 반역하여 백성들의 범죄를 저지르지 못하도록 예방에 노력하였다. 세종은 더 나아가 백성을 위한 문자인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백성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신이 생각을 문자로 기록하고, 상대방에게 전달하여 개인간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였다. 사림파는 세종의 언문창제의 뜻과 조응해서 한문책의 언해를 간행하여 민의 교화를 촉진하도록 하였다. 이때, 사림파는 언해 대상의 선정과 해석을 주도하고, 지식의 공급자로서 지식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판관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는 사림파가 상위에서 민들과 함께 유교이념을 공유하면서 정치 권력자인 훈구파와 대항하려는 것이다. 언해의 확대는 민의 의식을 추동하고 있었다. 민의 문자 생활은 즉흥적이고 일회적인 생각을 극복하고, 단순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 곧 백성이 문자 생활을 통하여 억울함과 불합리에 대하여 의견을 개진하여 신분을 뛰어넘는 인간 상호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였다. 이는 신분제 사회에서도 농민의 의사를 존중하고, 유교의 확산을 도모하며, 유교 문명화로 나아가는 길을 열어간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aims to show that a public policy was based on the people's awareness which chang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especially the reformation policy using the Korean alphabet was implemented. The Joseon Dynasty suggested the reformation policy which attracted the voluntary obedience according as the people's awareness growed, and published the Three Basic Moral Codes(Samganghaesil-Do). In addition, the penal code was translated into Idu script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people from committing crimes. It is well known that Chinese was the source of a crucial source of intellectual power by which the ruling class maintained their vested rights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meantime, King Sejong created the Korean alphabet for the people so that they could express their thoughts. Furthermore, he published a book on ethics in order for the people to live morally. The Korean alphabet was driving the people's awareness in a direction not intended by the King Sejong. It led the people to overcome their spontaneous and one-off thoughts, and make it possible to express simple thoughts logically. The people could make a communication between human beings exceeding their status through raising questions on the unfairness and irrationality. This leads us to the conclusion that even the Joseon Dynasty’s caste system in a certain way respected the farmers' intentions, promoted the spread of Confucianism, and opened the way to Confucian civi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