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디자인의 동일·유사를 판단할 때 일반 수요자의 입장과 당해 디자인을 잘 알고 있는 능통한 수요자의 입장에서 판단하는지에 따라 침해결과가 확연히 달라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디자인보호법은 디자인의 동일·유사 판단시 누구를 기준으로 판단할 것인지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 않다. 또한 판례도 디자인의 동일 유사판단은 보는 사람이 느끼는 심미감 여하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고 설시할 뿐, 보는 사람이 일반 수요자인지, 아니면 당해 디자인의 능통한 수요자인지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고 있다. 이 글은 디자인의 동일·유사 판단의 인적기준을 어떠한 자로 파악해야할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주요국의 법률과 판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디자인 동일·유사 판단의 인적기준으로서 관찰하는 디자인에 대한 ① 해당 디자인에 관련된 물품의 성질, 비용, 사용형태 등이 어떤지, 그리고 ② 해당 디자인의 각 부위가 공공연히 알려진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지식이나 인식’을 가진 능통한(informed) 수요자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When judging the same or similar design, the infringement result is markedly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it is judged from the perspective of a general consumer and a competent consumer who knows the design well. Nevertheless, Korea's Design Protection Act does not stipulate by whom to judge a design that is identical or similar. In addition, the precedent also asserts that the judgment of the same similarity of the design should be judged according to the aesthetic sense of the viewer, but does not mention whether the viewer is a general consumer or a competent consumer of the design. This article reviewed the laws and precedents of major countries in order to examine who should grasp the human standards for determining the same or similar design. Through th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sign is observed as a human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ame or similar design: ① that is the property, cost, usage type, etc. of the product related to the design, and ② whether each part of the design is publicly known? It was concluded that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it as an informed consumer with a high enough knowledge or awar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