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의 참조 문법으로서 『한국어 표준 문법』의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특히 ‘음운론’ 영역을 중심으로 설명의 구체화가 필요한 부분, 누락되어 설명을 추가해야 할 부분, 기술이 불필요하여 삭제해도 무방한 부분으로 구분하여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한국어 표준 문법』은 한국어 교육에의 활용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기에, 한국어 교육적 목적과 관점을 고려한 내용을 ‘적용 문법’ 기술부에 제시하였다. 그런데 『한국어 표준 문법』 적용 문법 기술부의 내용이 원론적 수준의 필요성만을 언급하거나 혹은 중요한 내용을 누락한 경우, 불필요함에도 기술된 경우가 있어 이를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먼저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변이음 교육, 삼지적 상관속을 이루는 자음의 교육, 변별적 자질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것인데, 이 내용들은 설명이 좀 더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추가가 되어야 할 내용도 있는데, 운소 부분에서 음운구 억양의 특징이나 억양구 마지막 음절의 특징, 음절 부분에서 음절구조제약, 음소결합제약에 대한 설명 부분이다. 음운 현상 부분에서는 교수-학습이 불필요한 음운 규칙에 대한 기술이 추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한국어 표준 문법』에서는 ‘ㅂ’ 불규칙과 같은 현상에 대해 다중 기저형을 통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한국어 교육에서 효용성이 떨어지므로 굳이 제시할 필요가없다고 본다. 『한국어 표준 문법』은 향후 개선을 전제하고 있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표준 문법』에 개선 방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용 음운론 교재 집필에도 참고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가진다.


This thesis aims to propose various points to improve Standard Korean Gramma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include making detailed explanations, adding missed explanations, and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s in phonology. Standard Korean Grammar was schemed for many possible diverse applica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Korean Grammar reflecte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purpose and view, which is described in the “application grammar part.” However, its content is still at the level of “principal,” and even more missed some essential explanations. The following complementary measures are needed. First, there is a need for detailed explanations. The teaching of allophones, the teaching of distinguishing among the three-way plosives in Korean, and the use of distinctive features are necessary for detailed explanations. Second, there is a need for adding missed explan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nological phrase tonal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st syllable in the intonation phrase are needed for additional explanation.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phoneme combination constraints, and unnecessary item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phonological rules are also needed for additional explanation. Third,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 is needed. A teaching method using multiple underlying forms of irregular conjugation such as “ㅂ” was proposed in Standard Korean Grammar. However, there is no need for explanations because the teaching method is not effective. This thesis is meaningful as it suggests improvement methods about Standard Korean Grammar.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of the phonological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