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는 메이커 교육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 유아메이커교육의 실태와 유치원 교사(교사, 원감, 원장)의관련 교육경험 및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공사립 유치원 55곳, 371 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메이커교육을 시행하지않는 유치원 교사가 많고 메이커 스페이스가 없는 유치원이 많았다. 유아메이커교육을 시행(예정)하는 경우 주로 유치원의 빈 교실과 교실 공간을 활용하여 정규 교육과정과 방과 후 활동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유치원 교사는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메이커 교육 관련 과목을 이수하거나 교사 연수를 받은 경험이 거의 없었다. 유치원 교사들은 메이커 교육이 필요하고유익하며, 적용 시작 연령으로는 만 4∼5세, 누리과정 자연탐구 영역에 적용 가능성이 가장크다고 인식하였다. 활성화 방안으로는 행ㆍ재정적 지원과 정책, 교수학습 자원 확보, 환경인프라 구축, 교사 연수 순으로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메이커교육이 교육 현장에 정착되도록 유아교사에게 메이커 교육에 대한 안내와 다양한 정보 제공, 교수학습방법과 평가자료 제공, 교사 연수 등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Maker education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fostering future talent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early childhood implementation of maker education, related education experiences and the recognition of education officials(teachers, inspectors, and presidents) in Korea.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to survey 371 teachers in 55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near Seoul, Kyu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few teachers who practiced it and many kindergartens did not properly reserve required maker education spaces for learning. They could not find a way to fully incorporate the maker education into Korean kindergartens. In the case of execution, they used an empty classroom or a part of the classroom space and adapted maker education to work during the regular term or to extend the program for after-school activities. Second, the educators did not enroll in course studies nor undergo internships in this subject. Third, they recognized that maker education was necessary and beneficial. They thought it was appropriate to start at the ages of 4 and 5 and to apply it to the natural exploration area of the curriculum. To support maker education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teachers with administrative assistance, financial support, teaching-learning resources, the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and providing internships.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and helpful in nurturing our young children as globally competent contribu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