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한나 아렌트의 ‘탄생성’ 개념을 바탕으로 초등문학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아렌트의 ‘탄생’은 크게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첫 번째는 인간이 엄마의 뱃속에서 세상 밖으로 태어나는 것을 의미하는 생물학적인 탄생이며, 두 번째는 ‘말과 행위’를 통해 세계 속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정치적인 탄생이다. 그중 탄생의 두 번째 의미는 ‘창발성’과 ‘다원성’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의의가 있다. 아이들이 가진 개성과 새로움을 발견하고, 이를 보존하여 사회에 잘 진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곧 ‘탄생성의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초등문학교육은 교사의 교육적인 의도와 학습자들의 관심, 필요, 흥미 등에 부합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문학 수업에 있어서 점차 활동이 일정한 ‘틀’로 작용함에 따라, 학생들의 새로움이 발현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고 있다. 또한, 활동 중심의 수업은 활동 그 자체가 수업의 목적이 되는 경우도 있으며, 교실 분위기에 따라 아이들의 반응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즉, 아이들이 문학을 직접 경험하기 위해 제공되는 여러 활동이 초등문학교육에서 적절하게 기능하고 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논문은 탄생성이 가진 교육적 의미가 초등문학교육의 논의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고, 탄생성에 따른 초등문학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탄생성’을 토대로 초등문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아이들의 새로움을 발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아이들이 수업의 과정에서 주도적으로 무언가를 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두 번째는 교사의 배려 속에 교실 공동체를 형성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아이들 각자가 지닌 개인적인 이야기를 사적 영역에 감추어두지 않고, 교사의 배려를 통해 다른 친구들과 소통하게 될 때 인간적인 관계를 맺고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일상에 대한 사유를 제공해야 한다. 아이들은 자신의 행위가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또 다른 나’와 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사유 활동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삶에서 무언가를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것들을 탐색한다는 점에서 탄생성의 교육에서 가장 핵심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lementary literary education based on Hannah Arendt’s ‘Natality’. Arendt insists in ‘birth’ in two main ways. The first meaning is a biological birth in which humans are born into the world in the mother’s womb, The second meaning is a political birth that sees that revealing oneself through “words and actions” is soon to be reborn in the world. The second meaning of ‘Natality’ is of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emphasizes ‘creativity’ and ‘plurality’ at the same time. Discovering the individuality of children, preserving them, and helping them enter society can be called ‘the education of Natality’.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ion of elementary literary education with the question of’ How should elementary literary education be don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of natality?’ Litera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centered on activities that match the educational intention of the teacher and the needs, and interests of the learners. From the perspective of natality education, this can be seen as a teacher-oriented class that must respond according to the teacher’s plan. In the course of the class, it seems as if the children are freely active, but in the end, they are only acting as expected by the teacher. This is because serious thinking and new beginnings for one’s life are not guaranteed through literary class. The direction of elementary literary education based on Natality’s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litera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an education that preserve and discovers the newness of children. To discover newness means to discover one’s own differences, and to preserve one’s own uniqueness in the world. The second should be an education that forms a classroom community in the consideration of teachers. Finally, it should be an education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thinking in everyda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