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교육은 본질적으로 성장을 중핵으로 하는 행위이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문학교육은 학습자 개인의 성장에 가장 적극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영역이다. 성장이란 학습자가 삶의 맥락과의 관계 맺기를 통해 의미를 구성하고 그 의미를 지속적으로 증폭해 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때 성장에 작용하는 의미란 자기 자신, 그리고 세계의 양항에 걸쳐 있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장의 관점에서 볼 때, 문학교육은 문학 텍스트를 매개로 세계의 타자성을 경험하게 하는 의미 구성 과정에 주목하여야 하는데, 질문, 특히 학습자 스스로 생성하는 질문이야말로 이 의미 구성 과정을 추동하는 중요한 매개가 될 수 있다. 사실 문학교육의 현장에서도 질문의 중요성이 부각된 지는 오래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가 작품에 대한 질문을 만들고, 함께 답을 찾아가는 대화로 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라는 지침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질문-대답의 수업 과정이 평면적으로 반복되는 구조로 실현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질문 중심 문학교육의 궁극적 의미에 대한 성찰의 부족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질문 중심 문학교육이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성장에 기여하기 위해 어떤 점을 강조하여야 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문학교육 자료 및 연구 성과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질문 중심 문학교육의 양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질문 중심 문학교육의 장면에서 ‘누가’, ‘무엇에 대해’, ‘어떻게’ 질문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의 문학교육은 학습자 스스로가 텍스트를 매개로 자기 삶에 대한 질문을 생성하고, 그 질문을 연쇄적으로, 그리고 누적적으로 지속하게 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성장에서 성장으로 이어지는 교육의 본래적 의미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Education is essentially the concept of growth at its core. In particular, literature education can be most actively involved in the growth of learners. This is because growth is a process in which the learner constructs meaning and expands the meaning through relationship with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growth, literature education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eaning through text. In this process, the questions that learners generate themselves are an important medium to help construct meaning. In fact, even in the field of literature education, questions have long been considered important.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questions. However, in the actual class, the question-answer process is repeated flatly. This is because they did not reflect in depth on the meaning of question-oriented literature education. This thesis emphasizes that learners can grow when questions of learners are expand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nd the world. In addition, w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relationship’ can be embodied through text. This question-oriented literary experience should continue even after the end of school education. Only then can growth lead to another growth. This is to realize the original meaning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