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문학교육의 방법론적 관점은 실체 중심, 속성 중심, 활동 중심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문학교육은 각 관점이 이점을 온전히 구현하면서 상호 균형과 통합의 작용 속에 문학에 대한 총체적 이해가 가능하도록 실천되어야 한다. 그런데 속성 중심, 활동 중심 문학교육과 달리 실체 중심 문학교육은 잘못된 문학교육의 전형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학교에서의 문학교육을 중심으로 실체 중심 문학교육에 씌워진 오명의 실체와 원인을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체 중심 문학교육에 작동하는 척력과 실체 중심 문학교육에 대한 오독이 상호 긴밀하게 결합하여 실체 중심 문학교육의 실천을 소외시킨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실체 중심 문학교육이 문학을 총체적 이해하는 데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논구하였다. 이는 실체 중심 관점을 문학교육의 설계와 실천 국면에서 ‘작품 그 자체’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는 관점으로 재인식하는 것이다.


The methodological perspective of literature education can be classified into substance-centered, attribute-centered, and activity-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so that each viewpoint fully realizes its advantages and enables a holistic understanding of literature in the action of mutual balance and integration. However, unlike attribute-centered and activity-centered literary education, substance-centered literary education is not functioning properly because it overturns the stigma that it is a typology of wrong literary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 cause of the stigma of substance-centered literary education, focusing on literary education at school.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pulsive force acting on substance-centered literary education and misreading of substance-centered literary education were closely combined with each other to alienate the practice of substance-centered literary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this paper investigated a plan to enable the substance-oriented literary education to function 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iterature. This is to re-recognize the substance-centered viewpoint as a viewpoint that makes the importance of the “Work itself” new understanded in the design and practice phase of literatur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