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교육에서 자주 운위되지만 포괄적이면서 모호한 의미역을 갖는 ‘교양’ 개념의 기원과 역사적 전변을 살펴보았다. 이 개념의 기원인 ‘Bildung’은 13세기 독일 신비주의에서 태동한다. Bildung은 개별 인간에 내재된 신의 형상을 완성하기 위한 체험, 태도 등을 강조하는 신학적 개념으로 공통소양, 혹은 지식을 지시하는 교양보다 ‘도야’라는 개념에 더 가깝다. 도야의 신학적인 이상을 인간적 도야의 개념으로 정초한 이는 칸트이다. 그는 계몽을 ‘인간의 자기도야’로 정식화했지만 동시에 개별성/사회성의 조화를 ‘법(국가)에의 순응’으로 대치시킨다. 한편 실러의 경우 ‘국가’를 ‘예술’로 대체하며 칸트의 도야론을 ‘미적도야’의 기획으로 발전시켰으나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소박한 낙관, 이상적인 예술과 독자 사이의 간극 등의 한계를 보였다. 훔볼트는 도야의 이상을 교육제도에서 실현하고자 했지만, 그의 시도 역시 교육이 국가로부터 자율성을 확보하기 어려움을 반증하는 사례로 귀결된다. 이들이 개인/사회, 인식/태도의 조화를 도야의 이상으로 상정하는 데 반해, 딜타이는 도야를 전적으로 영적인 것, 그리고 사회에 순응하는 것으로 제시하며 ‘교육’과 ‘도야’의 분화와 대립을 확정적으로 드러낸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origin and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s of the concept ‘liberal arts’, which is frequently mentioned in the field of education but has comprehensive and vague meaning. ‘Bildung’ - the origin of this concept - originated from the 13th century German mysticism. Bildung - a mystical concept putting emphasis on experience, attitude, and so on for completing image of God inherent in individual human beings - is more like the concept of ‘doya(도야)’ rather than ‘liberal arts’ referring to common knowledge. It is Immanuel Kant who emphasized the mystical ideal of Bildung as the concept of humanistic doya. He formalized enlightenment as ‘self-education of humans’ but contrasted the harmony of individuality/sociality with ‘compliance to law (nation)’. Meanwhile, Friedrich Schiller advanced Kant’s Bildung theory into ‘aesthetic education’ design by replacing ‘nation’ with ‘art’ but had limitations in terms of naive optimism toward autonomy of art, gap between ‘ideal’ art and viewers, and so on. Wilhelm von Humboldt aimed to realize ideal of Bildung in education system but consequently, his attempt is a case that disproves the difficulty of education securing autonomy from nation. While the aforementioned philosophers assume harmony of individual/society and perception/attitude as the ideal of Bildung, Wilhelm Dilthey clearly identified division and confrontation of ‘education’ and ‘Bildung’ by proposing Bildung as wholly spiritual thing and conforming to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