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종교갈등이 심심치 않게 발생하는 한국의 종교적 상황에서 종교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종교평화교육모델을 개발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주지하듯이, 최근 한국 사회는 개신교로부터 촉발된 이웃 종교에 대한 혐오와 배제로 사회의 안녕이 위협을 받고 있다. 특히 개신교인에 의해 발생한 ‘불상 훼손사건’이나 ‘사찰방화’를 비롯한 불교와 관련된 크고 작은 종교폭력 문제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이슬람 지역에서 온 난민이나 다문화 가정에 대한 극단적 혐오와 배제는 그 정도를 넘어서고 있다. 심지어 최근 코로나19 사태에서 드러났듯이, ‘신천지’ 같은 사이비 종교 집단의 반사회적이고 반윤리적인 전도 활동은 단순히 종교의 내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이제 사회의 안녕과 평화를 해치는 사회악으로까지 간주되고 있다. 그런데 주목할 것은 종교갈등의 주요 원인이 다름 아닌 ‘개신교’라는 사실이다. 하지만 한국 개신교에 의해 더욱 촉발 및 심화되는 종교폭력에도 불구하고, 정작 한국 교회와 학계는 종교폭력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물론 최근 기독교교육학계에서 ‘평화’의 주제를 이슈로 하여 연구한 논문들이 적지 않게 나왔지만, 대부분의 연구성과들은 남북통일을 염두에 둔 통일교육에 맞춰져 있었다. 따라서 종교평화의 문제, 특히 개신교인에 의해 저질러진 훼불사건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종교평화교육을 탐색하는 일은 시급하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문화폭력’의 측면에서 평화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성찰한 평화학자 갈퉁(Johan Galtung)의 ‘평화이론’과 참여관찰법을 중심으로 한 실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주제를 탐색하였다. 첫째, 한국사회의 종교갈등의 양상과 훼불사건을 역사적으로 심층 탐색하였다. 둘째, 한국 개신교인에 의해 저질러진 훼불사건을 종합 정리한 훼불일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 기초 위에서 셋째, 종교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종교평화교육모델로서 ‘개운사모델’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개운사 사건을 배경으로 하여 실천되었던 감(-)폭력과 증(+)조화의 종교평화교육모델로서, 시민참여형과 종교전문가학술토론형의 종합모델이다.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for religious peace which may contribute in overcoming religious conflicts that are now casually occurring in Korean society. Recently, the well-being of Korean society has been threatened by Korean churches’ hatred and exclusion towards other religions. In particular, extreme hatred and exclusion towards refuge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from the Islamic region have crossed the line, not to mention large and small religious violence related to Buddhism such as "vandalizing Buddha statue" incident and "arson of Temple" caused by Protestants. Furthermore, revealed by recent pandemic, evangelism of cult such as “Shincheonji” has not only proved itself to be an antisocial and unethical act, but also has been considered as the social evil which threatens the well being of Korean society. What draws attention is that these religious conflicts all derive from Korean Church. Despite the deepening of religious violence, Korean church and the academia has in fact put the least amount of effort in resolving these issues. Of course, there have been numerous articles revolved around the theme of “peace”” from Christian academia; however, most of these articles focus on unification education with Korean reunification in mind. Therefore, education on religious peace must be explored by critically reflecting religious conflicts such as the vandalism of Buddha statue by Korean protesta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s three research subjects based on action research and the ‘peace theory of Johan Galtung’ who systematically assessed peace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violence’. First, it explores the trend of religious conflicts in Korea and the history of the vandalism of Buddha statue. Second, it critically assesses the daily report on the Protestant vandalism of the Buddha statue. Last, it suggests “Gaeunsa Model”- a comprehensive model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academic discussion to practice pro harmony and anti violence, as an educational model for religious pe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