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에서 일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직무소진과 고객지향성 간의 구조적관계를 검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기업 직원 154명의 설문 응답자료를 SPSS와 AMO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회복탄력성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회복탄력성이 높아질수록 구성원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공식적인 과업을 고객지향적인 태도로 수행한다고 풀이할 수 있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 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에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변수에 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직무소진은 고객지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는 직무소진이 증대할수록 구성원들의 고객지향성은낮아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회적 기업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을 낮출 필요성이 있다는 의미이다. 넷째,회복탄력성과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은 매개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는 사회적 목적과 영리 추구 및 실천이 중시되는 사회적 기업 조직에서도 구성원의 회복탄력성을 증대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무소진을 낮추어 고객지향성을 높이는 것이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확보하는 경영전략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해 준 것이다.


This study verifi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job burnoutand customer orientation for employees working in social enterprises. Thespecific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resilience has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This can beinterpreted as the greater resilience, the more the employees perform theformal tasks they are given in a customer-oriented manner. Second, there is a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job burnout, but there is no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relationship. Further research on personalvariables (Park Sang-eon, 2019) that affect job burnout in the future isdeemed necessary. Third, job burnout has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number of jobburnout the lower the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Therefore, it isnecessary to reduce the job burnout of social enterprise employees. Fourth, in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customer orientation, job burnout hasbeen found to have no mediated effect.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confirm that in social enterpriseorganizations, where social purposes and profit-seeking and practice areimportant, increasing the resilience of their members and reducing job burnoutbased on this can be a management strategy to secure sustainable managementof social enterpri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