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가직업훈련 환경과 훈련 프로그램이 훈련생의 만족도의 매개과정을 거쳐 훈련 전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육 및 인적자원개발 연구는 교육훈련의 효과성을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로서 훈련의 실무수행을 위한 전이효과를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이러한 훈련 전이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 모델의 실증분석 연구이다. 연구의대상은 국가인적자원개발 훈련을 수행한 3,618명의 재직자 훈련생이며 구조화된 설문을 바탕으로전화설문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코딩의 과정을 거쳐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모델화된 가설 검증을 실행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훈련환경(훈련시설과 훈련장비) 및 훈련운영(교수자, 교재, 교육진행) 변수의 세부 요인들은 매개변수(훈련 만족도)와 결과변수(훈련 전이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독립변수인 훈련환경과 훈련운영 변수들은 훈련 만족도의매개변수를 거쳐 훈련 전이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국가직업훈련을수행하는데 훈련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 사전 준비의 필요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고, 이론적 ․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tional vocational training environment and training program on the training transfer effect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raining satisfaction. To this end, a telepho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3,750 employees who had undergone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training,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all sub-elements of the training environment (training facilities, training equipment) and training programs (teachers, textbooks, education progr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raining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training transfer.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raining transfer effect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raining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