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권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메시지 헤드라인의 강조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부산과 서울지역 264개 선거공보물의 헤드라인에 집중하여헤드라인 정보내용(강조내용)을 정치, 경제, 사회, 비전, 기타에 대한 유목으로 지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광고소구별(이슈/이미지) 헤드라인 강조내용의 차이, 후보자별(남/녀) 헤드라인 강조차이, 지역별(부산/서울) 헤드라인 강조내용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전체 264개 후보자의 선거공보물에서 사회분야 관련 헤드라인이 가장 많았다. 지역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당의 정강 및 선거시기 중 나타난 사회 현상을 바탕으로 한 헤드라인을 표현 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국회의원선거의 헤드라인 분석과 정치광고물 정리에 의의를 가지며 향후 연구자들의선행연구 자료로써 기초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정당별 및 유권자별 분석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emphases on the headline messages that can affect voters’ choices. To do this, focusing on the headlines of the 264 election treasures in Busan and Seoul for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s, the headline information contents (for the steel content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vision and others were designated. Specifically, deference in emphases on headlines by advertisement subdivision (issue/image), deference in emphases on headlines by candidates (man and female), and the deference of the regional (Busan/Seoul) headlines were analyzed. In a total of 264 candidates' campaign treasures, society-related headlines turned out to exist mostly. Such a result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gion,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se headlines attempt to express headlines based on social phenomena that emerged during party platforms and election years. This research proves meaningful in analyzing headlines and organizing political advertisements for parliamentary elections, and will be basic material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se results, we recommend to further analyze headlines depending on political parties and voter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