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조선조 후기 대표적 類書의 성립 과정과 분류의 문제를 지식사의 관점에서 논하였다. 유서는 조선조 후기의 筆記와 마찬가지로 저자의 다양한 독서와 견문의 결과로 산생하였다. 저자가 오랜 기간 축적한 지식․정보를 箚記 방식으로 정리하면서 이를 분류하고 새롭게 배치한 결과물이다. 지식․정보의 뭉치가 비평과 고증을 거쳐 체계적인 분류로 탄생하는 것이 조선조 후기의 유서다. 유서의 분류는 대체로 天․地․人의 三才論을 바탕으로 배치하고 있으나, 점차 일상과 사물을 비롯한 자연의 물질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러한 유서의 분류와 배치방식은 관념에서 벗어나 사물과 현실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은 조선조 후기 지식사와 학술사에서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


This paper discusses the formation of the representative yusŏ 類書 (encyc- lopedias) and its classification in the late Chosŏn dynasty from the intellectual history of view. Like the p’ilgi 筆記 (jottings), the yusŏ in the late Chosŏn dynasty was produced as a result of the author's broad reading and experi- ence. While classifying them, the author deployed his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he had accumul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s is the yusŏ of the late Chosŏn dynasty that a bundl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as born into a systematically classified yusŏ by means of the author's careful criticism and examination. The yusŏ had generally been classified on ch'ŏnjiin 天地人 (heaven, earth, and person), but gradually moved toward the new classification focusing on natural materials, e.g., daily life and objects. This new type of the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the yusŏ means that the intellectuals of that present deviated from the notions and placed importance on things and reality. This is meaningful i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late Chosŏ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