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다니자키의 원작 소설들 중 다수의 작품들이 영화화 된 점에 착목하여 그 중 가장 많이 영화화 된 『문신』을 중심으로 영화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문신』은 지금까지 총 6번 영화화되었는데 이 중 1966년도에 최초로 영화화된 마스무라 야스조 감독의 <문신>과 가장 최근의 작품인 미시마 유키코 감독의 <문신>을 연구의 범위로 삼았다. 먼저 원작 소설 『문신』에서는 시모어 채트먼의 서사구조이론을 중심으로 사물적 배경인 인물과 배경, 그리고 사건적 요소인 플롯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두 편의 영화 <문신>의 경우는 서사구조와 함께 시드 필드의 패러다임 이론 중 3막구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지면의 한정으로 총 6편의 <문신> 중 두 편만을 연구의 범위로 제한한 것은 연구의 한계라 할 수 있으나 다니자키의 처녀작인 『문신』이 그가 반세기에 걸쳐 추구해 온 탐미문학이 나아가야 할 나침반과 같은 소설이며 한 세기가 지난 지금에 이르기까지도 인간 내면의 욕망을 끌어내는 이미지와 도구로써 그 원천소스의 역할로 기능하고 있음을 도출하였다 데 의의가 있다하겠다.


This paper considered the aspect of the filmmaking of the original novel "Shisei" based on the fact that many novels by Tanizaki were used in "One Source Multi-use". A total of six films have been made into films so far, including Masumura's "Shisei" the first film to be made, and Yukiko Mishima's "Shisei" the latest release, as the scope of research. First of all, the original "Shisei" looked at the historical elements that make up a plot and object elements that form a background to the character, focusing on the narrative structure theory of Simore Chatman. In the case of the two films, "Shisei"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and the paradigm theory of Sid Field were discussed together.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re limited to the first and latest of the six "Shisei" films. However, in this book, Tanizaki's first novel, "Shisei" was the same novel as the compass he pursued for half a century, and it is meaningful that a century later, it serves as a source source for his image and tool that elicits the latent desires of the inner world.


本稿は谷崎の多数の小説が'ワンソースマルチユース'に使用されたことに着目し、原作である小説『刺青』の映画化の様相を考察した。 『刺青』は現在まで計6本が映画化されているが、この中で一番先に映画化された増村監督の『刺青』と一番最近公開された三島由紀夫監督の『刺青』を研究の範囲とした。 まず、原作である『入れ墨』ではシーモア·チャットマンの叙事構造理論を中心に人物と背景を成す事物的要素とプロットを成す事件的要素を調べてみた。2本の映画『刺青』の場合は、小説の叙事構造とともにシードフィールドのパラダイム理論を中心に考察した。 本研究においては、紙面限定で研究範囲を計6本の『刺青』の中で最も最初の映画と最近の映画のみに限定したのは研究の限界といえる。しかし、本稿では谷崎の処女作である『入れ墨』が、彼が半世紀にわたって追求してきた耽美文学が進むべき羅針盤のような小説であり、一世紀が過ぎた現代においても、内面に潜む欲望を引き出すイメージと道具として、その源泉ソースの役割として機能していることを導き出したところにその意味が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