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국분야(東國分野)는 하늘의 28수를 조선 전역에 대응한 새로운 분야설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화담학파(花潭學派)의 인물들에 의해 16세기경 동국분야가 출현한 것으로 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동국분야의 창안자와 그 학설의 성립 시점을 재검토하였다. 유형원(柳馨遠, 1622~1673)의 분야설에 대한 일련의 문헌을 검토해 보면 동국분야의 창안 시점은 17세기를 상한으로 하는 것 같다. 이 같은 추정은 동국분야가 표현되어 있는 천문도와 지도 등 현존 자료의 제작 시점에 의해서도 뒷받침 된다. 동국분야가 출현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인을 거론할 수 있다. 첫째, 서구식 세계지도와 지리서의 전래에 따른 고전 분야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둘째, 고전 분야설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 셋째, 일본 전역을 28수에 대응한 일본 분야설의 유입이다. 동국분야설의 출현은 상반된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여겨진다. 하나는 고전 분야설을 계승하여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변주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구설(地球說)을 비롯한 서양 지리 지식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분야설을 폐기하지 않고 새로운 형식으로 변형하였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새로운 지리 지식에 기초하여 중국 중심의 전통적 지리관에서 탈피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중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이나 조선도 독자적인 분야설을 수립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Donggukbunya(東國分野: Allocated fields of Korea) is newly originated Bunyaseol (分野說: The theory of allocated field) which mapped the Twenty-eight mansions(28宿) of the sky to the territory of Joseon.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existing research, Donggukbunya advented by the Hwadam School(花潭學派) in 16th century.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creator and period which Donggukbunya established as a theory. As a consequence of research a series of documents which related to Yu Hyeong-Won(柳馨遠), the Donggukbunya seems originated in 17th century at least. This is reliable considering the timeline of various documents which contain Donggukbunya. To explain the advent of Donggukbunya, three elements can be taken as grounds. First, criticism about traditional Bunyaseol due to inflow of western world map and geography. Second, numerous attempts to adjust traditional Bunyaseol reasonably. Third, arrival of Japanese Bunyaseol which mapped 28 mansions into Japanese field. The advent of Donggukbunya is considered as containing two meaning. The first is that Donggukbunya is a variation of inherited traditional Bunyaseol which reflected change of the era. Despite the western geography knowledge -for instance, Idea of Round Earth(地球說), etc.- expanded, it didn’t dispose the Bunyaseol but transited into new format. The other is that Donggukbunya shows possibility of escape from traditional geography concept which centered on China to newly introduced Western geography knowledge. As it represent Japan and Joseon can establish independent Bunyaseol like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