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本研究は、韓国人日本語学習者と日本語母語話者の初対面場面におけるユーモアがない自己開示の発話と共起する笑いの機能について分析した。自然会話のデータは初対面の会話場面を収録し、母語場面及び接触場面における自己開示の発話を分析対象とした。日本語母語話者間会話(5組)、韓国人日本語学習者間会話(5組)、接触場面(10組)、合計(20組)である。全て女性を対象とした。本研究で明らかになった結果をまとめると次のようである。全体の笑いの出現数の傾向は①KJはA類仲間づくりの笑いよりB類バランスの笑いが多く出現し、JはB類よりA類の笑いが多く出現している。笑いの種類別に見ると②A類仲間づくりにおいてはKJ<Jの結果で、B類バランスの笑いにおいてはKJ>Jである。③接触場面と母語場面の出現数を比較するとKJは差がなく、Jは母語場面で多く出現している。④接触場面でも母語場面でもKJよりJが「笑い」の出現数が多い。種類別結果を見ると、KJはA1(話題共有期待の笑い)、B2(厚かましさによる笑い)に有意差が見られ、JはA2(共有表明の笑い)、B1(恥または照れによる笑い)に有意差が見られた。これらの結果から、KJは自己の領域から相手に意見、要求を出していく際、笑いが多く生じて相手と共有することを重視することが分かった。その反面Jは、談話参加を最も重視して笑いが自己開示と共に生じ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This study focusses on laughter at the first meeting between Japanese learners and Japanese speakers and analyzes the function of laughter that appears in self-disclosure without humor. The data includes a conversational interaction at the first meeting, a self-disclosure speech in an interaction using the native language, and a contact situation that is used as an object of analysis. The participants included Japanese speakers (five groups), Japanese learners (five groups), contact situations (ten groups), and a total (twenty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KJ has more laughter due to B than due to A, and J has more laughter due to A than due to B; 2) KJ is the result of J in A and KJ is the result of J in B; 3) Compared to the contact scenes and native language situation, KJ has no difference and J appears a lot in native language situations; and 4) J has more laughs than KJ has in contact situations in the native language. Examining the results by type indicate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J among A1 and B2 and in J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2 and B1. From these results, KJ found that a lot of laughs in making opinions and requests from own area, and that it was important to share them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J places a lot of emphasis on participating in the self-discourse, and it became clear that laughter appears along with self-disclosure.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초대면 장면에서 유머가 없는 자기개시 발화에 나타나는 웃음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초대면 대화 장면을 수집해 모국어 장면 및 접촉장면에서의 자기개시의 발화를 분석 대상으로 했다. 일본어 모국어화자 대 일본어 모국어화자(5쌍), 한국인 일본어학습자 대 한국인 일본어학습자(5쌍), 접촉장면(10쌍), 합계(20쌍)이다. 본 연구결과는 ①KJ는 A류(동료만들기)의 웃음보다 B류(균형만들기)의 웃음이 많이 출현하고, J는 B류보다 A류의 웃음이 많이 출현하고 있다.②A류에 있어서는 KJ<J의 결과이며, B류에 대해서는 KJ>J이다.③접촉장면과 모국어 장면의 웃음 출현수를 비교하면, KJ는 차이가 없고 J는 모국어 장면에서 많이 출현하고 있다. 접촉장면에서도 모국어 장면에서도 KJ보다 J의 「웃음」 출현 수가 많다. 종류별 결과를 보면, KJ는 A류의 A1화제의 공유 기대 웃음과 B류의 B2 염치없는 웃음에 유의차가 보였으며, J는 A2공유표명 웃음, B1 부끄러움에 대한 웃음에 유의차가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KJ는 자신의 영역으로부터 상대에게 의견, 요구할 때 웃음이 출현하며, 상대와 공유하는 것을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J는 담화 참여를 중시해 웃음이 자기개시와 함께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