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재현을 질문하는 과정 자체가 아이러니하게도, 백래쉬와 경합하는 장이 되기도한다. 재현에 대한 문제의식이 궁극적으로 어떤 언설과 연결될지 가늠하는 것도 중요해졌다. 본 논문은, 오늘날 재현의 윤리에 대한 질문이, 대중적 백래쉬의 정동과 교착하는 장면들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최근 빈번히 발견되는 설득의 서사구조에서도 이런 우려를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서사구조는 백래쉬와 부정의 언설 앞에서 스스로를 증명해야 하는 강박과 관련될 것이다. 그런데 그 설득의 과정 자체가 재현에 대한 오인을 발생시키곤 한다.. 오늘날 서사 속 5월 광주 재현이 처한 곤경도 이러한 재현 일반의 문제와 연동한다. 1990년대 이후 제도화, 공식화한 언어와 상상력을 공회전하면서 5월 광주 재현은 부정, 백래쉬 앞에서 무력해지곤 한다. 이것은 같은 언어를 공유, 활용하고 있는 조건과 장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 글은, 영화 <김군>(2018), 최윤 소설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지고」(1988)를 재독해하면서 이러한 5월 광주 서사의 현재와 과제를 가늠하고자 했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roblem of the scenes where the question about the ethics of representation today intersects with the affect of popular backlash. Ironically, the process of questioning representation itself becomes a field to compete with opposing forces. Therefore, it is also necessary to carefully assess what kind of discourse will ultimately lead to the problem about representation today. This concern can also be considered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persuasion, which is frequently discovered recently. This narrative structure will be related to the intention to prove oneself in front of backlash and denial. However, the process of persuasion itself causes misconceptions about representation. In today's narrative, the predicament of the May Gwangju uprising representation is also linked to this problem. Since the 1990s, the institutionalized and formalized language and imagination have been lethargy. This is also a matter of foundation and field sharing the same language. This article attempted to assess the present and tasks of the May Gwangju uprising narrative by reading the movie <Kim-Gun> (2018) and Choi Yoon's novel(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