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한 대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남녀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내면화된수치심과 사회불안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및 사회공포증,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비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및 사회공포증과 자기비난 등 모든 변인간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및 사회공포증과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이 완전매개하고 있음을검증하였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기비난을 통해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불안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이 사회공포증 보다 자기비난의 매개효과에 대한 설명력이 더 높았다. 특정 상황 보다는 일상생활의 상호작용에서 자기비난을 통하여 더 높은 수준의 불안을 경험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내면화된 수치심의 성격적인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모두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것은 아니지만, 인지적인 전략으로 자기비난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사회불안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how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riticism in the effect ofinternalized shame on social phobia. For this, 253 university students based in Seoul andGyeonggi Province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main results of this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the variables address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be static correlation. Second, the influence of internalized shame on self-criticism wassignificant, and self-criticism and internalized sham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anxiety. There, internalized shame was proved to be mediated by self-criticism in relation to socialanxie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riticism on socialinteraction anxiety and social phobia, respectively, the ability to explain the mediating effects ofself-criticism was higher than that of social phob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