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옹패러다임’은 노인과 아이를 같은 존재로 보는 일본의 문화 인식이다. 이 인식은 치매 노인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일본의 동옹패러다임은 중세 이후 노인을 신의 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성스러움을 가지게 되었다. 그 이후 치매 노인의 이상행동은 신의 행동으로 받아들여졌다. 이 인식은 서양 의학이 들어오는 근대에 바뀐다. 서양 의학에서 치매는 정신병이었다. 결과적으로 치매 환자를 돌보는 사람들의 강력한 동기가 되었던 성스러움의 탈락으로 이어지고 결국 간병(care)이라는 입장만 남게 된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치매 환자를 숨기려는 형태로 자리 잡게 되고, 이 과정에서 치매 환자의 인간적 존엄성은 상당히 훼손됐다. 그러나 사실 지금까지 어른으로 모셨던 사람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은 돌보는 사람에게 죄책감을 들게 만든다. 이러한 죄책감에 대한 심적 변화가 일본 현대문학 작품에는 그대로 드러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변의 광경』(1959), 『황홀한 사람』(1972), 『장녀들』(2014) 세 작품을 통해서 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죄책감에 대한 해결책은 치매 노인을 다시 신의 영역으로 보내는 것이었다. 즉, 근대 이전의 조령신앙에 기반한 성스러움이 포함된 ‘동옹패러다임’으로의 회귀였다. 문제는 이 방식 또한 인간적 존엄성의 문제를 직접 다루지 못하고 임시방편적으로 회피하는 방식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Dong-ong Paradigm" is a Japanese cultural perception that sees old people and children alike. This perception applies equally to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Japan's Dong-ong Paradigm has placed the elderly in the realm of God since the Middle Ages. So the old people became holy beings. Eventually, the strange behavio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as taken as the act of God. This perception changes in modern times when Western medicine comes in. In Western medicine, dementia was a mental illness. Western medicine has taken away the sanctity that has been a powerful motive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Only simple care remains. In the process, the human dignity of dementia patients has been significantly damaged. The dignity of the patient was undermined, causing the caregiver to feel guilty. Such a change in guilt is reflected in the works of modern Japanese literature. In this paper, three works were analyzed: "Kaihennokokei" (1959), "Kokotsunohito" (1972), and "Chojotachi" (2014). As a result, the solution to guilt was to send the elderly with dementia back into the realm of God. In other words, this was a return to 'Dong-ong Paradigm', which included holiness. The problem is that this is no more than a temporary expedient to avoid the problem of human dignity.


日本の「童翁パラダイム」は老人と子供を同一視する文化認識である。これは、認知症の老人にも同じである。日本の「童翁パラダイム」は、中世以後、老人を神の領域に位置させることで神聖性を獲得した。それ以来に認知症老人の異常行動は神の行動として理解された。この認識は、西洋医学が本格的に入ってくる近代に変わる。西洋医学のもとで認知症は精神病の一種であった。結果、認知症の老人に被せられていた神聖性は消滅し、ただケアだけ残ったのである。 このような変化は、人々に認知症患者を隠すようにしてしまった。ここで患者の人間としての尊厳は傷付く。また、ケアする人も同じく罪悪感を感じる。この罪悪感への心の変化が現代文学作品に表われている。 本論文では、『海辺の光景』(1959), 『恍惚の人』(1972), 『長女たち』(2014)を通して考察してみた。その結果、罪悪感への解決策は認知症の老人を再び神の領域に位置させることであった。すなわち、近代以前、祖霊信仰をもとにして成り立った神聖性が含まれた「童翁パラダイム」の復活である。問題は、これは、患者の尊厳を正面から接近するものではなく臨時的に回避するものにすぎないということで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