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통계 교육의 방향성 변화를 반영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자료의 정리와 해석’을 분석하였다. 개정한 중학교 1학년 교과서 10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기준 3개 중 성취기준 1에 해당하는 과제가 54%, 성취기준 2에 해당하는 과제는 16.5%였다. 둘째, 정보처리 역량은 자료 정리 및 분석 60.9%, 자료의 해석 및 활용 16.3%, 공학적 도구 활용 14.4%, 자료 수집 8.3%였다. 셋째, 공학적 도구로 활용한 통계 프로그램은 이지통계와 통그라미였다. 넷째, 실제 자료는 19%였고, 실제 자료는 정보 처리 역량의 자료 수집, 성취기준 3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다섯째, 맥락의 소재는 사회현상, 학생일상, 과학현상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실생활 중심의 통계 교육을 지향하는 방향성이 맞추어 더 다양한 실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안의 개발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organiz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in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flecting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statistics educ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10 revised first grade middle school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three achievement standards, 54% of the tasks belo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 1 and 16.5% of the tasks belo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 2. Seco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was 60.9% for data organization and analysis, 16.3% for interpretation and use of data, 14.4% for use of technological tools, and 8.3% for data collection. Third, the statistical software, used as technological tools, were Easy-statistics and Tongrami. Fourth, the actual data was 19%, and the actual data was most often found in the data collec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 3. Fifth, the context came in the order of social phenomena, scientific phenomena, and student daily lif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in guiding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s to allow use of a wider variety of actual data through real life-oriented statistic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