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 중 심미적 감성역량의 특성과 하위요소를 국내외 문헌을중심으로 탐색하고, 이를 기초로 초등학교 음악, 미술, 체육 교육과정에 투영된 심미적 감성역량 하위요소 내용을 고찰한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규정된 역량의 특성 세 가지, 즉 총체성, 수행성,맥락성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학교 3~4학년군의 예술 및 체육교과가 서로 연계할 수 있는 심미적 감성역량의 하위 역량과 내용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음악 교과의 총체성 하위 요소로는 다원적 가치존중, 다양한 문화 수용, 음악적 상상력이, 수행성의 하위 요소로는 음악적 표현, 문해력, 음악 미적 지각, 창의융합 능력이, 맥락성의 하위 요소로는 음악 문화 참여, 풍요로운 삶 유지 등이 추출되었다. 미술 교과의 총체성 하위 요소로는 다원적 가치 존중, 다문화 수용성, 세계시민 의식, 시각적 소통능력,공감이, 수행성의 하위 요소로는 미적 지각, 시각화 능력, 시각적 문해력, 창의 융합 능력, 비판적 미적판단이, 맥락성의 하위 요소로는 자기이해, 자기계발, 공동체 의식, 실천적 지식 개발이 추출되었다. 체육 교과의 총체성 하위 요소로는 다문화 수용성, 신체적·감성적 소통과 공감, 다원적 가치 존중이,수행성의 하위 요소로는 신체 예술의 가치 이해, 신체활동 문화 향유, 신체표현 창의융합능력이, 맥락성의 하위 요소로는 미적 안목, 정체성과 자부심 강화, 행복한 삶의 향유의 내용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탐구한 음악, 미술, 체육교과에 관한 심미적 감성역량 연구는 향후 예술, 체육교과 연계 프로그램을 계획, 운영하는 데 있어서 이론적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 틀을 기반으로 한 또 다른핵심역량과 교과들 간의 연계 프로그램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역량 중심의 교과연계 프로그램의 개발은 국가 교육과정을 준수하는 가운데 교육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강화라는 측면에서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and sub-elements of aesthetic sensitivity competency of thekey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competencies defi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otality, performance, and contextuality. Thesecharacteristics were the basis for deriving the sub-competences and content elements of the aestheticsensitivity competency necessary for the art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of the 3rd and 4th gradeelementary school to connect with each other. As the sub-elements of totality in the Music subject,respect of pluralistic values, acceptance of various cultures, and musical imagination were extracted; asthe sub-elements of performance, musical expression, literacy, musical aesthetic awareness, andcreative convergence ability; and as the sub-elements of contextuality, participation in musical cultureand maintenance of an affluent life. As the totality in the Art subject, respect of pluralistic values,multicultural acceptance, global citizenship awareness,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and sympathywere extracted; as the performance, aesthetic awareness, visualization ability, visual literacy, creativeconvergence ability, and critical aesthetic judgment; and as the contextuality, self-understanding,self-development, community consciousness, and practical knowledge development. As the totality in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multicultural acceptance, physical and emotional communication andempathy, and respect of pluralistic values were extracted; as the performance, understanding the valueof body Art, enjoyment of physical activity culture, and creative convergence ability for bodyexpression; and as the contextuality, aesthetic perspective, strengthening of identity and pride, andenjoyment of happ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