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무원이 인식하는 상대적 박탈감 해결은 공공부분 조직운영 및 인사관리에서 주요한 논점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연금과 연공서열 위주의 승진 및 임금체계는 상대적 박탈감에 따른 공무원 사기저하 및 이직을 방지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 이 연구는 경제적 보상외의 유·무형의 지원이 복리후생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 감소에 도움이 되는지를 사회적 교환이론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일과 삶의 균형정책(가족 친화제도, 선택적 복지제도), 절차적 공정성, 변혁적 리더십의 복리후생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고, 절차적 공정성과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일과 삶의 균형정책 및 절차적 공정성은 상대적 박탈감과 부정적 관계를 보였고, 절차적 공정성은 선택적 복지제도와 상대적 박탈감의 부정적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 public administration studies has focused on the negative effects of relative deprivation. However, little research has explored detailed relationships among work-life balance policy(family-friendly and selective welfare program, procedural justic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relative deprivation related to welfare benefits. This article tri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The results showed that family-friendly program, selective welfare program, procedural justice show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lative deprivation. In addition, procedural justice strengthen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policy(family-friendly and selective welfare program, procedural justice) and relative depriva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thoroughly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