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여러 방언형들을 종합적이고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비음 ‘ㅇ, ㅁ’과 관련된 이화 현상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국어 방언들에서 연구개 비음 ‘ㅇ’과 양순 비음 ‘ㅁ’은 ‘이, j계 상승이중모음’을 사이에 두고 각각 연구개음 ‘ㅇ, ㄱ’과 양순음 ‘ㅁ, ㅂ’이 후행할 때 탈락(혹은 비모음화)하거나 ‘ㅇ/ㅁ>ㄴ’의 변화를 경험한다. 한자어에서만 일어나는 ‘ㅇ, ㅁ’의 변화는 동일한 조음위치의 자음 앞에서 일어나는 동기관적 이화이다. 그리고 1차적 변화는 ‘ㅇ, ㅁ’에 의한 비모음화인데 이는 발음을 편하게 하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다음으로 2차적 변화는 두 방향으로 나뉘어 방언 분화를 야기하게 된다. 첫 번째 방향은 비모음의 [비음성]마저 상실되어 완전한 ‘ㅇ, ㅁ’의 탈락으로 이어지는 약화이다. 그리고 두 번째 방향은 [Ṽ, ĩ]가 [ɲṼ, ɲĩ]로 바뀌는 강화이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nature of the dissimilation related to nasal ‘ŋ, m’ by comprehensively and closely reviewing various Korean dialectal forms. In Korean dialects, the velar nasal 'ŋ' is deleted(or vowel-nasalized) or experiences change of 'ŋ>n', when the sound sequence of ‘j-type rising diphthongs’ and velar 'ŋ, k'. Also the bilabial nasal 'm' is deleted(or vowel-nasalized) or experiences change of 'm>n', when the sound sequence of ‘i, j-type rising diphthongs’ and bilabial 'm, p' The changes of 'ŋ, m' in the Chinese words are dissimilations that occurs before the consonants at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And the primary change is vowel-nasalization by the 'ŋ, m', which is the result of efforts to make pronunciation easier. Next, the secondary change is divided in two directions, causing dialectal divergence. The first direction is the lenition that leads to the complete deletion of the 'ŋ, m' by losing ‘nasalness’ of the nasal vowel. And the second direction is fortition in which [Ṽ, ĩ] change into [ɲṼ, ɲ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