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북조선 ≪청년문학≫의 60여년사를 정리한다는 것은 그리 간단한 작업만은 아니다. 이 때문에, 북조선이 정리한 발행 주체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청년문학≫의 역사를 정리해보자 한다. 특히 ≪청년문학≫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정보의 한계나 신뢰 가능한 역사 자료가 부족한 상황은 선결과제이고, 또한 북조선 자료의 불투명성이나 오류의 무한반복성에 대한검토도 필요하다.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 ≪청년문학≫ 1956년 3월호부터 1961 년 7호까지는 ‘조선작가동맹출판사’에서, ≪청년문학≫ 1961년 8호부터1968년 2·3호까지는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에서, ≪청년문학≫ 1970년 4호부터 1992년 5호까지는 ‘문예출판사’에서, ≪청년문학≫ 1992 년 6호부터 2001년 8호까지는 ‘문학예술종합출판사’에서, ≪청년문학≫ 2001년 9호부터 2019년 12호까지는 ‘문학예술출판사’에서 간행된다. 여기서 북조선의 굴곡진 역사처럼, ≪청년문학≫도 1961년, 1970년, 1992년, 2001년 등의 변화의 지점을 갖고 있다. 1961년은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재결성, 1970년은 유일사상체계가 구축된 후 ‘주체문예이론’, 1992년은‘주체문학(주체사실주의)’, 2001년은 ‘선군혁명문학’ 주창과 관련된 중요한변곡점이다. 그러하듯, ≪청년문학≫은 남한의 ≪현대문학≫ 등과 같은‘문예지(문예잡지)’라는 성격보다는, 1950년대 계몽적 선전지의 성격에서점차 ‘수령’의 선전지의 성격이 강화된 지도적 기관잡지, 즉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기관지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북조선 기관지 연구는 연구자의 성실함이 무엇보다 필요해 보이는데, 이는 북조선 자료가 갖고 있는 ‘자료의 불투명성과 오류의 무한반복성’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특히 이 연구처럼, 구체적인 정보의 한계나신뢰 가능한 기본 자료의 부족한 현상은 북조선 문학 연구가 ‘학문’으로성립가능한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에 봉착하게 만든다. 작금의 현실에서, 이에 대해 깊이 재고해 볼 필요성이 있는 것 같다.


It is not so simple to arrange North Korea’s 60-year history of the magazine Youth Literature. For that reason,, I choose to organize it by centering on how the subjects publishing the literature were changed according to North Josun’s arrangement. In addition, the first problem to be settled concerns the study of Youth Literature, where concrete information is limited or where reliable historical materials are scarce.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opaqueness of materials” in North Josun or “the infinite repetitiveness of their errors.” From Issue 3 in 1956 to Issue 12 in 2019 this Youth Literature had been published by “Josun Author Alliance Publishing House”, “General Josun Literature & Art Alliance Publishing House,” “Art & Literature Publishing House” and “Literature & Art Publishing House.” Here, like the bent history of North Josun, the publishing subjects of Youth Literature changed in 1961, 1970, 1992, and 2001. The year of 1961 saw the reorganization of the “General Josun Literature & Art Alliance”; 1970 the construction of the “Unique Idea System”; 1992 the important changes related to the advocacy of “Juche literature (subject realism)”; and 2001 that the modifications related to the advocacy of “Arm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 That can confirm the fact that North Josun’s Y outh Literature is the organ magazine where the character of a propaganda magazine of ‘the Chieftain’ has been gradually strengthened in that of an enlightening propaganda magazine in the 1950’s, that is, an organ by Central Josun Author Alliance Commission rather than of “literary magazines” such as South Korea’s Contemporary Literature, among others. Here, a study on North Josun’s organ seems to require a researcher’s sincerity above all. It is more so because of the “opaqueness of materials intrinsic to the materials of North Josun and the infinite repetitiveness of their errors.” In particular, like such a study, the phenomenon where concrete information is limited or where reliable basic materials are lacking makes me face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ether a study on North Josun literature can be formed as ‘studies’ or not. In the present day, the necessity of reconsidering deeply about it is rai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