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empirical case study contributes to re-thinking the existential division between landscape considered as representational within new cultural geography and landscape considered as non-representational within post-new cultural geography.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a change to the apparent form of a feng-shui landscape in relation to four collective ancestors’ tombs located near a local-lineage-based village in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a national reforestation project in the 1970s, to explore how the ontological dualism involved in apprehending this feng-shui landscape has been resolved in the villagers’ lived experiences of this landscape. In doing so, this paper attempts to empirically show that, in the lived experiences of human agents, the representational and the non-representational are inseparably interrelated.


본 논문은 신문화지리학과 비재현지리학의 맥락에서 풍수경관의 존재론적 이중성에 대한 탐구를 수행한 논문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동족마을들 중 하나인 달실마을의 음택풍수경관 사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1970년대 국가 주도 하의 식목사업 이전까지 마을사람들에게 있어 풍수경관은 신문화지리학에서의 풍수이데올로기가 재현된 경관으로 존재할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해당 풍수경관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70년대 심어졌던 나무들이 모두 자라난 이후부터 해당 풍수경관은 나무들로 완전히 가려져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게 되었다. 나무들이 심어지기 이전의 경관을 육안으로 관찰한 경험이 전무한 젊은 사람들에게 그 풍수경관은 더 이상 풍수이데올로기가 아닌 ‘정서’의 경관으로 존재하게 되었다. 동일한 풍수경관이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두 가지 방식으로 존재하는 지리적 현상을 ‘풍수경관의 존재론적 이중성’으로 개념화함으로써, 풍수에 대한 새로운 문화지리적 접근의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