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성경권위에 관한 논의가 역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담론장을 위한 조건이 무엇인지 따져서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난 세기동안, 보수복음주의 신학의 표준이었던 구(舊)프린스턴 학파의 성경담론은, 진리를 위해서 인식론적 확실성을 요구하는 데카르트의 인식론적 토대주의에 대한 대응이었다. 특히 벤자민 워필드는 성경의 완전축자영감과 무오성 교리를 중심으로 삼은 성경담론을 통해서 ‘궁극적 진리로서 성경의 인식론적 지위’를 확보하고 성경의 외적이고 객관적인 권위를 확고히 하려고 노력했다. 구(舊)프린스턴의 성경론은 근대주의에 대한 필연적 대응이었고 인식론의 위기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 권위를 방어했다는 신학적 공헌을 인정받아 마땅하다. 그럼에도 인식론적 토대주의에 기반한 성경담론은 ‘인식론적 환원주의’, ‘객관주의와 주관주의의 이분법’, ‘다른 기독교 교리들로부터 분리’라는 구조적인 한계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 한계들은 성경담론을 기독교 신학의 전체 생태계에서 갈라파고스처럼 고립되는 결과를 낳았다. 근대에서 포스트모던으로의 전환적 상황을 맞이한 우리 시대의 성경권위담론은 새로운 형식을 필요로 한다. 새로운 형식은 (1) 진리의 인식론적 토대로서의 성경본문(Text), (2) 성경을 통해 말씀하시는 신적 저자인하나님 (Speaker), 그리고 (3)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귀 기울이고 신실하게 응답하는 해석적 공동체 (Hearer)를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삼원적 구조의 성경권위담론이 ‘성경의 권위와 해석에서 일하시는 성령의 역사’와 ‘믿음 공동체를 향한 해석과 실천으로의 부르심’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갖춰져야 한다. 첫째, 조직신학의 전 체계에서 성경담론은 고립된 서론적 위치에서 벗어나 상호적 중심지로 재배치될 필요가 있다. 성경론이 포괄적인 기독교교리의 구조로 통합될 때 성경담론의 다양한 주제들, 즉 존재와 기능, 권위와 해석, 의미와 실천이 유기적으로 논의될 수 있다. 둘째, 새로운 형식의 성경권위담론은 근대 인식론적 토대주의가 상호배타적으로 갈라놓은 인식론과 해석학의 관계를 회복해야 한다. 여기서고려해야 할 해석학은 인간을 해석적 주체로 격상하여 자신의 말을 합리화하는 것이 아니라, 성경에서 하나님의 음성을 제대로 듣고자 하는 ‘말씀의 해석학’이어야 한다. 새로운 담론장에서, 참된 진리로서 성경의 인식론적 지위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고, 성경이 말하는 삼위하나님의 구원경륜이 풍성하게 드러나며, 해석 공동체의 정체성과 기독교적 삶의 형성을 위해 말씀의 해석학이지닌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다. 그렇게 형성된 역장 위에서, 성경을 읽는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을 흔들어 깨우고 변화시키는 신적 담화와 수행을 경험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present the conditions for a discourse in which discussion on biblical authority can take place dynamically. For the past century, the old Princeton School’s biblical discourse, the standard of conservative evangelical theology, was a response to Descartes’ epistemological foundationalism, which demanded epistemological certainty for truth. In particular, Benjamin Warfield tried to secure ‘the epistemological status of the Bible as the ultimate truth’ and to establish the external and objective authority of the Bible through biblical discourse centered on the notion of the plenary verbal inspiration and inerrancy of Scripture. The old Princeton’s biblical discourse was an inevitable response to modernism and thus deserves recognition for its theological contributions in defending Scripture’s authority amid an epistemological crisis. Nevertheless, the biblical discourse based on epistemological foundationalism has structural limitations such as ‘epistemological reductionism’, ‘dichotomy between objectivism and subjectivism’, and ‘separation from other Christian doctrines’. These limitations resulted in the Galapagos-like isolation of biblical discourse from the entire ecosystem of Christian theology. The discourse of biblical authority in our time, facing a transitional situation from modern to postmodern, requires a new form. The new format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following three factors integrally: (1) the text of the Bible as an epistemological foundation of truth (Text), (2) the divine author who speaks through the Bible (Speaker), and (3) an interpretative community that listens to and faithfully responds to God’s Word (Hearer). Two conditions must be met in order for the triadic discourse of Scripture’s authority to secure space for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 the authority and interpretation of Scripture’ and ‘the call to interpretation and practice toward the faith community’. First, in the whole system of systematic theology, biblical discourse needs to be relocated to a mutual center out of an isolated introductory position. When biblical discourse is integrated into the structure of a comprehensive Christian doctrine, various themes of biblical discourse, that is, ontology and function, authority and interpretation, meaning and practice can be organically discussed. Second, the new form of discourse on biblical authority must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pistemology and hermeneutics, which are mutually exclusively divided by modern epistemological foundationalism. The hermeneutics to be considered here should not be to rationalize one’s own words by elevating human beings as an interpretive subject, but rather to be ‘hermeneutics of the Word’ to properly hear the voice of God speaking through Scripture. In a new discourse, trust in the epistemological position of Scripture as truth would be restored, the economy of the triune God’s salvation spoken in Scripture would be revealed abundantly, and the importance of ‘the hermeneutics of the Word’ for the formation of the identity of the interpretive community and the Christian life would be highlighted. On the force field thus formed, Christians reading the Bible can experience divine discourse and practice that shakes and transforms themsel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