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무임승차가 갈등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무임승차가 팀 내 갈등(과업갈등, 관계갈등)과 팀 성과(팀 수행, 팀 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무임승차가 갈등을 통해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이 과정에서 팀원들의 참여 행태 즉, 성실한 참여와 불성실한 참여(무임승차)가 갖는 조절효과를 탐색하고, 전체 모형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했다. 분석 자료는 수도권 대학생 18개 팀(102명)이 수행한 팀 과업에 대한 정량적 평가 데이터와 정성적 분석 데이터를 사용했다. 이 연구를 통해 발견한 사실은 다음 세 가지다. 첫째, 무임승차가 팀 성과에 미치는 이중적 영향(double effect)을 확인했다. 무임승차는 팀 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팀 만족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무임승차가 발생하여도 성실 참여자의 역량으로 팀 수행이 이루어졌다. 둘째, 무임승차는 과업갈등과 관계갈등 모두를 증가시켰다. 갈등의 매개효과를 검토한 결과 관계갈등이 무임승차와 팀 만족의 관계를 부분 매개했고, 과업갈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성실참여는 무임승차가 관계갈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달리 말하면, 성실 참여자보다 불성실 참여자(무임승차자)가 더 큰 갈등을 느꼈다. 특히 무임승차자가 많은 팀의 불성실 참여자(무임승차자)가 과업갈등, 관계갈등 및 불만족을 크게 느꼈다. 이는 무임승차자가 팀 성과에 무관심하여 갈등과 같은 부정적 감정을 느끼지 않고, 성실히 참여하는 이들이 갈등을 느낄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과 정반대되는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온 원인을 심층 분석한 결과, 역할과 위치에 대한 인식, 팀 리더의 협력적 리더십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free riding on conflict and team outcome by examining it in three steps. First, we identified the direct effects of free riding on team conflict (task conflict, relationship conflict) and team outcome (team performance, team satisfaction). Second, we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nflict between free riding and team outcome. Third, we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m members' participation (i.e., hard-working team members or free riders) and analyz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he total model. We analyzed data gathered from 16 weeks’ observation and survey of 18 teams. Given the dearth of empirical research on free riding,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field study. From the results, we found three things: First, free riding had varied effects on team outcome. Free riding and team performance have no significant relation, but free riding associates with team satisfaction negatively. This implies that team performance depends on hard-working members’ competence. Second, free riding increased task and relationship conflicts. Relationship conflic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free riding and team satisfaction, and task conflict had no effect on that relation. Third, hard-working team members felt relationship conflict less than free riders. Participation decreased the negative mediation effect of relationship conflict between free riding and team satisfaction. Especially, free riders in teams with many free riders perceived high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and low team satisfaction. This is contrary to the common perception about free riders, so we analyzed further and found some explanatory factors, among them the team member’s role and status and the team leader’s cooperative leadership. The results suggest a new approach to deal with the free-riding problem and contribute to enlarging our understanding of free riding and team dyna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