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몽골제국의 정복 전쟁은 제국 구성원들의 공동 사업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대칸뿐만 아니라 개개의 諸王, 군사귀족들은 자신이 거느린 군사력의 일부를 동원하여 정복 사업에 참여하였다. 따라서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복 사업이 완료된 후에는 그 지역을 복속시키는 데 참가한 몽골의 여러 세력들이 정복의 성과, 즉 전리품을 나누어 가지는, 말하자면 결산 과정이 반드시 뒤따랐다. 1231년부터 1259년까지 몽골제국의 고려 침공은 옷치긴 가문을 비롯한 동방왕가에 의해 주도되었다. 특히 1250년대 뭉케 카안의 재위 기간에는 대칸이 남송 정벌에 전념하는 동안 그의 전권을 위임받아 동방왕가의 여러 세력들이 고려에서의 작전을 주도하였다. 그들은 고려 정부의 최종적인 항복을 받아내는 일보다는 고려의 인민들을 포로로 잡는 데 더 열을 올렸고, 그렇게 확보한 전리품의 소유권을 대칸으로부터 인정받았다. 만약 그 상태에서 전쟁이 마무리되었더라면 고려는 동방왕가의 몫으로 분할되었을지도 모른다. 1259년에 쿠빌라이가 대칸의 지위에 오르고, 거의 동시에 고려 정부가 몽골제국에 완전히 항복하면서 상황은 급변하였다. 새로운 대칸은 고려의 투항을 이끌어낸 것을 자신의 공으로 돌리면서, 기득권을 주장할 수 있었던 동방왕가의 입김을 차단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먼저 전선에 나가 있던 동방왕가의 군대를 모두 철수시키고, 그들이 장악하고 있던 고려인 투항민과 포로들을 방환하였으며, 고려와의 교섭 창구를 자신으로 통일시켰다. 그리고 1260년대 후반에는 철저하게 자신의 명령에만 따르는 군대를 파견하였다. 매우 신속한 결단과 실행으로 쿠빌라이는 동방왕가 세력의 몫으로 떨어질 뻔했던 고려를 자신의 사업으로 끌어오는 데 성공하였다. 그가 의도했든 그렇지 않든 이는 결과적으로 고려의 입장에서도 대단히 잘된 일이었다.


The Mongol Empire's conquest war was carried out as a joint project of imperial members. Not only the Great Khan, but also individual princes and aristocrats mobilized part of their military power to participate in the conquest project. Thu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for a certain area, the settlement process was bound to continue, in which the various forces of Mongols participating in the conquest shared the loot. From 1231 to 1259, the Mongol Empire's invasion of Koryŏ was led by the Eastern Princes including the Otchigin family. In particular, during the reign of Mögke Khan in the 1250s, the great Khan devoted himself to the conquest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various forces of the Eastern Princes took the initiative in their operations in Koryŏ. They were more eager to capture the people rather than obtaining the final surrender of the Koryŏ government, and the ownership of the warlords secured was recognized by the Great Khan. If the war had ended in such a state, Koryŏ might have been awarded as a part of the Eastern Princes. The situation changed rapidly in 1259 when Qubilai ascended to the Great Khan and, almost simultaneously, the Koryŏ government completely surrendered to the Mongol Empire. The new Great Khan attributed the victory to his leadership, and took several steps to block the influence of the Eastern Princes, who could claim vested interests. First, he withdrew all the troops of the Eastern Princes from the Koryŏ, second, repatriated the survivors and prisoners, and lastly unified the negotiation channels with Koryŏ to himself. And in the late 1260s, he replaced Eastern Prices’ forces with troops who strictly obeyed his orders. With a very quick decision and execution, Qubilai succeeded in bringing Koryŏ into his business, which had almost fallen to the share of the Eastern Princes. Whether he intended or not, this change was consequently very favorable for Koryŏ’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