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선문답과 불교상담의 목표와 지향의 공통점을 중심으로 둘의 연결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둘이 목표와 지향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선문답을 불교상담적 관점에서 연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선문답과 불문답을 비교하고자 한다. 선문답과 불문답은 불교상담의 두 가지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다. 불문답이 공성을 설명하고[說] 있다면, 선문답은 공성을 보여주고[示] 있다. 설과 시의 차이점에는 언어의 사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언어를 액자 안에서 사용하면 설명이 되고, 언어를 초언어적으로 사용하면 액자적 사용을 넘어서게 되고 공성의 언어로 작용하게 된다. 선문답은 공성과 불성을 드러내고자 하고, 이는 불교상담의 지향 가운데 하나가 된다. 본고는 선문답 가운데 마조의 선문답의 불교상담적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조의 선문답은 기왓장고사[瓦說], 평상심, 즉심즉불을 통해서 공성을 보여주고 있고, 공성이 불성으로 연결되는 것을 전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와설은 방석이라는 액자와 방석 밖의 세상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방석마저 필요치 않는 경지로 나아간다. 방석마저 필요 없는 경지를 마조는 평상심[平常心 是道]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때의 이 마음이 부처에 즉한다는 것[卽心卽佛]을 밝히고 있다. 기왓장고사, 평상심시도, 즉심즉불은 공성과 불성이라는 하나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결국 마조선은 즉심즉불의 심리학으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다. 공성과 불성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마조가 중요시하고 있는 지금 이 자리와 자기 자신에 머무는 것은 불교상담의 핵심적인 작업일 수 있다. 공성과 불성을 드러내는 작업이 될 때, 이때의 불교상담은 선문답의 패러다임 안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불교상담은 선상담으로 나아가게 된다.


Zen Dialogue and Buddha Dialogue are two paradigms of Buddhist counseling. If Buddha Dialogue explains emptiness, Zen Dialogue shows emptiness. The use of langu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se differences. When we use language as a translingual, we go beyond the frame of language and use language as emptiness. This paper attempted to connect between Zen Dialogue and Buddha Dialogue because of the commonality between the goals and intentions of the Zen Dialogue and the Buddhist counseling. Zen Dialogue attempts to reveal emptiness and Buddhaness, which is one of the goals of Buddhist counseling. In the sense that they both share their goals and intentions, they will be able to study Zen Dialogue from the viewpoint of Buddhist counseling. Among the Zen Dialogues,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Buddhist counseling of Mazu’s Zen Dialogue. Mazu’s Zen Dialogue is typically seen as an emptiness and a link to Buddhaness through rooftile story, ‘The ordinary mind is the Way’ and ‘The mind itself is the Buddha’. The three story tells an emptiness and Buddhaness.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Mazu’s Zen results in psychology of ‘The mind itself is the Buddha’. Staying here and now, staying on your own, as Mazu puts importance in a way that reveals both emptiness and Buddhaness, can be a key task in Buddhist counseling. At this time, the Buddhist counseling can be said that work is being done within the paradigm of Zen Dialogue. Such Buddhist counseling goes to Zen counseling, a kind of Buddhist couns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