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개념, 학습동기, 학습기술, 자기조절 학습전략의 국내외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대학생의 전공적응학습 역량강화를 위하여 기초학습능력을 자아개념, 학습동기, 학습기술, 자기조절 학습전략의 4요인을 측정하는 자가 평정식 기초학습능력 평가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초학습능력 평가척도는 4영역과 영역의 하위 8개 수준에 기초하여 연구자들이 개발한 200문항들로 구성하였다. 내용타당도를 위하여 교육학 전문가와 심리학 전문가들과 각 문항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표본대상 학생이 아닌 다른 전문대학교 1학년, 2학년, 3학년 각각 20명 총 60명의 학생에게 설문지를 의뢰하여 예비적으로 평가해 보도록 한 후, 교육학 전문가ㆍ심리학 전문가ㆍ현장 전문가 및 본 연구자들과 협의하여 난해한 문항, 예상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발생하는 문항, 애매모호한 문항 등을 빼거나 수정하였다. 또한 문항의 변별도를 산출하여 문항변별도가 낮은 문항은 제외하였다. 평가문항의 수정ㆍ보완작업을 거쳐 일차적으로 선정된 121문항에 대한 평가 문항의 양호도, 신뢰도, 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83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이 평가척도는 기초학습능력의 각 영역별로 자아개념 16문항, 학습동기 22문항, 학습기술 22문항, 자기조절 학습전략 23문항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기초학습능력 평가척도의 표준화를 위해서는 서울특별시, 광역시와 중소도시에 있는 5개 대학교에서 표집 된 1, 2학년 6,0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실제 분석 3,948명의 자료 사용) 평가문항의 양호도,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평가척도는 표준화를 위하여 전국 규준이 원점수와 표준점수로 제시되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asic learning ability contents scale for adaptation to majors strengthening learning capabilitie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concepts and componests widely used at home and abroad, such as self-concept, academic motivation, study skills, and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ies. Methods: In order to develop the constituent factors of basic learning ability and a valid and satisfactory assessment scale, this study promoted through 9 steps from analysis of basic learning ability element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o standardization of assessment scales. A structural model of 20 items at 8 levels was established and 200 questions were extracted. A group of pedagogical experts and psychology experts were formed to calculate content validity and question discrimination for 200 questions, and 121 questions were selected, and finally through an item analysis process based on the data of 699 students from S University in Seoul. 83 items were confirmed. Results: The basic learning ability contents scale was divided into 16 questions on self-concept, 22 academic motivation, 22 study skills, and 23 self-regulatin learning strategies. For standardization of the basic learning ability contents scale, Seoul Metropolitan City, metropolitan cit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 total of 6,000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were selected from five universities in the University of Korea (actual analysis using data from 3,948 people), and the standard score and percentile score for the original score were calculated to establish a standard.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cale which consists of 83 items has not only high reliability but also is qualified in terms of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he scale was standardized by providing nation-wide norms with raw scores, percentiles, and standardized scor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