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통일신라시대의 주요 묘제인 횡혈식석실분은 추가 매장이 가능한 구조이다. 그러나 추가장을 확인하기 위한 인골의 사례가 많지 않아 추가장의 과정과 무덤 내부 공간 배치에 관한 분석이 힘든 경우가 많다. 경주 동천동 고분군은 왕경지역 중위 지배층의 무덤군으로 이 중 인골이 확인된 동천동 373번지 유적의 횡혈식석실분은 고분군 내에서 대형에 속하는 무덤이다. 특히, 복수의 개체가 확인된 1호석실분에서는 측벽의 낮은 시상대에서 2개체의 인골이 확인되었다. 출토된 인골은 두개골을 측벽에 붙여서 나란히 둔 후 앞의 공간에 사지골을 정리해 둔 형태이다. 이러한 모습은 추가장을 위해 시상대의 인골을 정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1호석실분처럼 인골을 집골한 공간이 시신의 안치가 어렵다는 관점에서 유물 부장 공간으로 보는 견해가 있었다. 그러나 이번 사례를 참고하면 해당 공간은 추가장을 위한 추가적인 시상대의 역할로서 무덤 구성하는 단계에서 계획되고 활용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집골이 확인된 무덤의 규모 및 구조, 출토 유물 등을 통해 보면 최상위층이 아닌 지배층의 추가장을 위한 무덤 구조 및 공간 배치에 관한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Stone chamber with tunnel entrance tombs, the most common type of ancient tomb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is considered to be used for additional burials. Due to the lack of the excavated case of additional burials, however, it is hard to reconstruct the process of additional burials and the layout of the inside of tombs. Gyeongju Dongcheon-dong Ancient Tombs is Ancient Tombs of the middle ruling class of Silla capital, and among them, the stone chamber tomb located in Dongcheon-dong 373 site where human bones were found is relatively large. Especially, on the dead floor on the short wall side of the Tomb No 1, human remains of two individuals were found. Their craniums were located along the wall and their limbs were gathered in front of the craniums. This position of discovered remains could indicate the bone collecting practice and the preparation for additional burials. The dead floor on the short wall side in stone chamber tombs is often described as the place for grave goods as it is narrow to lay the dead. However, based on this case study, it would appear that the dead floor on the short wall side in the stone chamber tomb is the place for the additional burials planned at the stage of the tomb construction. Considering the size, structure, and grave goods of the tomb where the bone collecting practice was found, this case shows the aspect of tomb structure and space layout for additional burials of the middle ruling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