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중국 武夷山 武夷精舍와 玉山書院 주변의 ‘人居環境’을 武夷九曲과 玉山書院九曲을 중심으로 비교한 논문이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이뤄져있으며 중국 九曲園林과 한국구곡원림의 연원관계, 한중 구곡원림의 공간분포, 한중 구곡원림의 비교로 기술되어있고, 마지막에는 결론 부분과 옥산구곡서원의 발전방향에 대한 조언이 담겨있다. 1장 <한국 서원 밖의 인거환경>에서는 중국에서 九曲이 설정되는 배경을 설명하고, 조선시기 서원들이 서원 밖의 ‘인거환경’이 주자의 무이구곡을 모방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설명했다. 2장 <한국의 구곡원림과 중국의 배경연원>에서는 조선시기 유학자들의 朱子 숭배와 당쟁에 대한 회의로 산수자연을 이상향으로 간주하면서 구곡원림이 설정되었다는 점과 구곡의 造型상의 특징을 기술했다. 또한 무이산 하천과 한국의 하천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언급하고 구곡이 들어선 입지를 설명했다. 3장 <한국 구곡원림의 공간분포>에는 전국에 분포된 구곡을 지역별로 통계를 내고, 구곡이 집중된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역사적 연원을 설명했다. 아울러 일제강점기에서 현재까지 설정된 구곡도 설명했다. 4장 <한중 구곡원림 비교>는 무이구곡과 옥산구곡의 특징을 각각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두 곳을 비교했다. 이곳에서는 지형과 지질, 구곡의 설정자와 후대 학자, 문화와 사상, 시화와 석각, 경관 구성, 경의의 부여 등 여러 방면으로 나눠 상세하게 설명했다. 5장 <연구 정리와 발전 건의>는 이상의 연구를 정리하고 옥산서원과 옥산구곡이 갖는 현대적인 의미를 설명하고, 옥산서원과 옥산구곡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몇 가지 조언을 했다.


This study is about compa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between Mooijungsa in Mount Mooi, China and Oksan Seowon, focusing on Mooi Gugok and Oksan Seowon Gugok. This study consists of the total five chapters about the relations of origins of Gugok gardens in China and Korea, spatial distributions in both Korean and Chinese Gugok gardens, and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Gugok gardens, and finally there ar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Oksan Gugok Seowon. Chapter 1 <Residential environment outside the Korean Seowons> explains the background to set Gugok in China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residential environment outside Seowons in Joseon mimicked Zhu Xi’s Mooigugok. Chapter 2 <The Korean Gugok Garden and the Origin from China> describes that Confucians in Joseon worshiped Zhu Xi and they also considered natural landscapes of mountains and waters as utopia due to their regret for factions and then, Gugok gardens was set and the garden’s characteristics in design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rivers in Mount Mooi and in Korea are mentioned with the explanations on the locations of Gugok. Chapter 3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Gugok Gardens> contains the statistics of Gugok gardens in Korea by region and explain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origin of the regions concentrated with Gugoks. In addition, the Gugoks set between the Japanese Colonial Times and the present are also described. Chapter 4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Gugok Gardens> describes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s of Mooi Gugok and Oksan Gugok and then compares both the places based on them. The chapter offers detailed descriptions with several sections including topography and geology, who set Gugok and next generations of the scholars, culture and ideas, poetic drawing and stone carving, landscaping, and making the meanings in the landscapes. Chapter 5 <Summary and Suggestions for Development> summarizes the study, explains the contemporary meanings of Oksan Seowon and Oksan Gugok, and makes some suggestions for developing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