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 초등교사 일 중요성 척도가 중등교사에게도 동등하게 사용 가능한 척도인지 검증하고, 일 중요성이직무만족과 소진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236명과 중·고등학교 교사 154명으로부터자료를 수집한 뒤,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 동등성 검증과 잠재평균 분석 및 다집단 구조모형 분석을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와 중등교사 간 교사 일 중요성의 부분 절편동등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급에 따른 일 중요성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등교사가 초등교사에 비해 일 중요성 하위요인중 사회적 일 중요성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고, 학생과의 관계적 중요성과 동료교사와의 관계적 중요성에서는낮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에 대한 사회적 일 중요성과 관계적 일 중요성의 영향이 초등교사와중등교사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난 반면, 소진에 대한 사회적 일 중요성의 영향은 초등교사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나, 중등교사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measurement equivalence of the Work Mattering Scale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investigate whether teachers’ work mattering could account for their job-satisfaction and burn-out. A total of 390 teachers responded to our survey. The data were fitted to a series of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models for testing measurement equivalence, and a series of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s for testing structural equivalence between the two groups. First, the configural, metric, and partial scalar equivalence of work mattering scales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as defendable.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ocietal mattering was significantly lower but their interpersonal mattering for students and colleagues were higher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Finally, whi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was predicted by both societal mattering and interpersonal matter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burn-out was associated with only interpersonal mattering. This study suggested that policy and interventions for teachers’ work mattering need to be design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differ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