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노자 『도덕경』 제78장에 보이는 ‘정언약반(正言若反)’이라는표현을 실마리로 삼아 『도덕경』의 주요 문장이 실은 반언(反言)의 반복(反 復)이라는 가설을 논증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어서 이 가설에 입각하여 『도덕경』의 주요 대목을 반언으로 풀이함으로써 『도덕경』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방법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정언약반(正言若反)’은 ‘올바른 말은 마치 그른 말처럼 보인다.’는 뜻으로 얼핏 모순되는 진술처럼 보인다. 하지만 『도덕경』에는 이런 식의 모순이 제1장에서부터 마지막 제81장에 이르기까지 도처에 보인다. 이를테면제1장에서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도는 상도(常道)가 아니라는 말이나, 제81 장의 믿을 수 있는 말은 아름답지 않다거나, 아름다운 말은 미덥지 않다는말은 모두 동일한 모순을 담고 있다. 따라서 이 모순에 담긴 의미를 일정한 형식의 문장으로 환원할 수 있다면 『도덕경』 전체를 보다 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반언(反言)은 일체의 가치를 문자 그대로 ‘뒤집는[反]’ 논리를 내포하고 있다. 반언의 구문은 대체로 대(大)자 또는 상(上)자 다음에는 가치를 표현하는 개념이 놓이고, 불(不)자 또는 무(無)자 다음에는 그 개념이 담고 있는 일반적 속성이 위치한다. 대부분의 반언은 ‘大A不B’, ‘上A不B’의 형식을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반언의 문장에서 구문상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글자는 대(大)자와불(不)자로 반언은 이 두 글자의 조응으로 완성된다. 대(大)의 의미는 ‘크다’ 는 뜻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양적인 차이가 아니라 질적인 차이를 드러내기위한 표현으로 쓰인다. 상(上)자 또한 마찬가지다. 특정 가치 개념 앞에 붙은 상(上)자는 단순히 해당 가치의 상위를 의미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해당가치 개념이 내포하고 있는 한계를 넘어 있다는 의미로 표현된다. 그 때문에 대(大) 또는 상(上)자와 조응하는 불(不)자는 특정 가치 개념이 담고 있는 일반적인 속성을 부정하는 역할을 한다. 두 글자의 조합을 통해 특정 가치의 최상위에 해당하는 개념은 그 개념의 고유성에 갇히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부정함으로써 그 가치를 넘어서는 초개념에 이르는 것이다. 『도덕경』에 보이는 대부분의 문장은 이 같은반언의 형식으로 환원해서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반언의 문법은 『도덕경』 전체를 일관성 있게 이해하는 데 요긴한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essay is to argue the hypothesis that the main sentences of Lao-tzu's Tao Te Ching are actually a repetition of paradoxical expressions. And the clue to this hypothesis is the passage ‘正言若反’ in chapter 78 of Tao Te Ching. Based on this hypothesis, I would like to suggest another way to understand Tao Te Ching by interpreting its main topics in the light of the paradoxical mode of expression. ‘正言若反’ means ‘The truth often sounds paradoxical’, and this seems to be a contradictory proposition. But the contradictory expressions like this are seen everywhere from Chapter 1 to Chapter 81. For example, “Tao that can be expressed is not Everlasting Tao(常道)” in Chapter 1, and “Sincere words are not beautiful; beautiful words are not sincere” can be regarded as the same kind of contradictory expression. Since these expressions are used intentionally, repeatedly and in a certain formal way, I would like to call it ‘the paradoxical mode of expression’ The paradoxical mode of expression implies the unique logic of putting all values and virues into a literal ‘paradox’.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paradoxical expression is ‘大A不 B’ or ‘上A不(無)B’. A is primarily a certain value or virtue, and B is its property. ‘大’ or ‘上’ are mostly used as words to reveal qualitative differences, not quantitative differences. Especially ‘大’ or ‘上’ emphasizes that the values(or virtues) A goes beyond their general meanings. And ‘不’ or ‘無’ has a role to negate those general meanings. Thus, the paradoxical mode of expression awakens the fact that supreme values or virtues go beyond their conventional meanings. Because the main sentences of Tao Te Ching show this paradoxical mode of expression, to understand its unique structure and significance can be spoken as the important way to approach into the core of Tao Te 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