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Purpose: This study compares project and program aid to determine the more effective aid modality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in recipient countries with different levels of income. Originality: Both the theoretical models adopted to test the hypothesis and the data used to estimate the models are original. Panel data from 22 countries between 2005 and 2018 were used to compare the impacts of the two aid modalities (project aid and program aid) on the improvement of overall welfare and economic growth. Methodology: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aid effectiveness, this study connects two major topics on this subject: (1) effectiveness of different aid modalities, and (2) aid effectiveness in terms of the promotion of overall quality of life and economic growth, which were measured by traditional indicators. Additionally, the same model was tested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s of the recipients. Result: Project aid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but negatively impacted economic growth. However, this negative impact could be mitigated through good governance in middle income countries. On the other hand, program aid resulted in a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had either insignificant or negative impacts on economic growth. Conclusions and Impli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roject aid is the more effective mean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 negative or insignificant impacts of program aid imply challenges in practice that render it difficult to take advantage of the theoretical benefits of this aid modality.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sound macroeconomic policies and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ensure that the project aid modality produce positive economic impac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두 가지 원조 형태인 프로젝트 원조와 프로그램 원조가 각각 수원국의 삶의 질 개선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중요성: 가설검증을 위해 독창적인 이론적 모형 및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2005년부터 2018년에 걸친 22개국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해 두 가지 원조 형태(프로젝트 원조 및 프로그램 원조)의 전반적인 삶의 질 개선 및 경제성장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론: 원조효과성 담론을 둘러싼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해당 분야의 두 가지 중요한 주제인 1) 원조 형태에 따른 원조효과성과 2) 원조의 삶의 질 향상 효과를 전통적 지표들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수원국의 소득 수준에 따른 원조효과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동일한 모델을 소득 수준별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젝트 원조는 수원국의 삶의 질 개선에는 긍정적 효과를, 경제성장에는 부정적 효과를 보였으며, 중위소득국에서는 우수한 거버넌스 하에서 이러한 부정적 효과가 완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프로그램 원조는 삶의 질 개선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장에는 부정적이거나 유의미하지 않은 효과를 보였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삶의 질 향상에 프로젝트 원조가 프로그램 원조보다 효과적임을 제시하며, 이는 프로그램 원조의 이론적 장점이 원조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발휘되고 있지 못함을 시사한다. 또한 프로젝트 원조가 경제성장에도 긍정적 효과를 미치기 위해서는 수원국의 정책 및 제도적 기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