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기존의 자토석독구결(이하 석독구결) 해독에서 [복귀]의 ‘도로’로 재구된 부사 ‘還乊’가 [추가]의 ‘ㅼㅗ’로 재구될 수 있음을 논했다. 주지하다시피 석독구결의 해독은 문법사 또는 어휘사적 연속성과 표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후기 중세 및 근대한국어 시기의 언해 자료에 의지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문증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급적 언해 자료의 어형으로 석독구결의 형태들을 재구하게 된다. 특히 언해 자료에서 재구형으로 삼을 만한 어형이 복수일 때는 해당 석독구결 형태의 특징과 문맥에서의 의미 등에 비추어 그 적합성을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요컨대 본고에서는 석독구결의 ‘還乊’가 갖는 통사적 제약, ‘도로’로 해독할 경우에 대두되는 문제, 언해 자료에서의 대역 분화 양상, 평행 사례 등을 짚어 봄으로써 ‘還乊’와 ‘ㅼㅗ’의 긴밀한 연관성을 피력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e that Letter-attached Seokdok- gugyeol adverb ‘還乊’ can be reconstructed as ‘ㅼㅗ’, which means [Addition]. It is well known that, on the basis of continuous change of Korean syntactic and lexical history and features of Korean writing system, the interpretation of Seokdok-gugyeol is heavily relied on Eonhae(Late Middle Korean and Early Modern Korean). Therefore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reconstruction of Seokdok-gugyeol's words are based on Eonhae. However, when several words of Eonhae is possible to be interpreted as reconstruction for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uitability of choice, in terms of Seokdok-gugyeol’s features and contextual meaning etc. To sum up, this paper pointed out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還乊’ and ‘ㅼㅗ’, on the aspect of syntactic constraints of ‘還乊’, problems of ‘還乊’ interpreting as ‘도로’, differentiative translations of ‘還’ in Eonhae, and other related parallel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