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인휘의 『노동자의 이름으로』(2018)는 ‘노동소설의 노동소설’이라 불릴만하다. 이 소설은 민주노조운동의 ‘정치양식’으로서의 1980~90년대 노동소설의 세계관과 윤리, 서사문법과 형상성 등 미학적 요소를 집성하고 또 나름대로 갱신해서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1987년부터 지금까지, 한 세대를 건너 연속 또는 불연속 돼온 한국 노동운동을 돌아보는 내용을 갖고 있다. 이는 특히 현대자동차 노조 운동사를 배경으로 삼고, 1995년 부당해고에 맞서다 분신 자살한 현대자동차 노동자 양봉수 열사를 주인공으로 한 것이다. 알다시피 현대자동차는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이며, 그 노조 또한 한국 노동운동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지닌다. 회한과 슬픔의 정념을 가득 깔고 있는 이 소설은 왜 1990년대 노동운동과 ‘열사’를 주요한 소재로 삼았을까? 또 이는 무슨 의미가 있을까? 90년대 노동운동은 80년대적인 노동운동의 문화정치적 성격, 즉 전투적 노동조합주의로 상징되는 제반의 문화적 양식을 이어받으면서, 동시에 자유화ㆍ개인화ㆍ세계화ㆍ대중화로 요약될 수 있는 90년대 한국문화의 흐름과 길항해야 했다. 이같은 거시적인 맥락 하에서 이 소설은 노동운동에서의 ‘열사의 문화정치, ‘진정성 체제’와 노동의 관계 등을 보여주며, 90년대의 한국 노동계급의 문화적 형성과 분해의 과정을 걸었는지 보여준다. 이는 1980년대와 90년대에 대한 지배적인 시대 인식에 대해 다른 의식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90년대 노동운동 자체는 ‘진보’했지만 자유주의 헤게모니와 (대기업 중심) 기업 단위 노동조합운동의 한계 때문에 제한되고 방해받은 것이었다. 이처럼 이 소설을 통해 우리는 1980년대에서 1990년대로의 이행과 또 과도적 크로노토프의 문학ㆍ문화 연구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Lee In-hwi's In the Name of Laborer (2018), the most iconic work of the Korean labor novels. In political terms of the democratic labor union movement, the novel is a collection of aesthetic elements such as worldview or ethics, narrative structure, and figurativity of labor novels in both the 1980s and 1990s, and additionally is an updated version of them to the contemporary readers. The novel deals mainly with controversial issues of (dis)continuous Korean labor movements over one generation since 1987. In order to explore reflect such the history, the work is based on a true story of the Hyundai Motors union movement and casts in the lead role of the movement a Hyundai Motors worker, Yang Bongsoo, who fought against unfair dismissal and eventually committed suicide in 1995. The labor movement in the 1990s continues militant unionism―the cultural and political chracteristics of the 1980s labor movement. However, it has to be also in antagonism with the new currents of the 1990s emerging as liberalization, individualsim, globalization, and popularization in Korea. In this macroscopic context, the novel portrays ‘the cultural politics of labor movement marty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 ‘sincerity regime’ and labor, and the process of cultural formation and disintegration of the Korean working class in the 1990s. These descriptions enables us to see things from another angle―not from the dominant view on the 1980s and 1990s. The 1990s labor movement unquestionably makes progress, but it turns out to have their limitations at the same time―under threat from liberalism-hegemony, it even changes into giant enterprise-dominated corporate-level labor union movement. Through Lee’s novel, accordingly, we can thoroughly investigate the remarkable transition from the 1980s to the 1990s which also serves as an example of transitional Chronotope in a study of literature/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