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현대 한국어 ‘당최’가 지닌 다양한 의미가 그 어원인 {당초}로부터 발달해 온 과정을 살펴보고, 나아가 그러한 의미 변화의 과정에는 각기 어떤 기제가 작용하였는지 검토하였다. {당초}는 주로 과거의 특정 시점만을 가리키는 데에 사용되었으나, 일부 환경에서는 그러한 시간적 의미가 확장되어 과거의 어느 시점부터 발화 시점(또는 그 이후)에 이르는 사태의 지속을 나타내게 되었다. {당초}의 척도적 의미는 개화기 이후에 발달한 것인데, 이러한 과정은 시간적 의미의 탈색과 척도 기반 추론이라는 두 가지 현상에 의해 이루어졌다. 현대 한국어 ‘당최’가 주로 부정절에 쓰이게 된 것은 그러한 환경에서 시간적 의미의 확장이 더 쉽게 일어나 척도적 의미의 발달에 기반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개체나 사태에 대한 화자의 부정적 태도를 드러내는 양태적 의미를 얻게 되면서 {당초}는 호응하는 서술어 없이도 쓰일 수 있게 되었다. {당초}와 거의 같은 의미를 나타내던 {아} 역시 비슷한 과정을 거쳐 현대 한국어 ‘아예’로 발달하였는데, 이러한 사실은 현대 한국어의 부정극어 가운데 일부를 그 발달 과정에서 부정의 맥락과 긴밀하게 연합된 이차적인 부류로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various senses of Korean dangchoe have developed from {dangcho}, and analyzes what kind of mechanisms have worked in the processes of the semantic changes. {Dangcho} was mostly used to refer to a certain point in the past, but in some contexts such temporal meaning has been extended to indicate a continuation of a state-of-affair from the past time to the speech time (or later). A scalar meaning of {dangcho} was developed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which was based on two phenomena: bleaching of the temporal meaning and a scale-based inference. The reason why dangchoe has usually been used in negative clauses is that the extension of the temporal meaning could occur more easily in such constructions and this shift provided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calar meaning. Since {dangcho} acquired a modal meaning that conveys the speaker’s negative attitude toward an entity or a state-of-affair, it can have been used without a predicate. {Azi} which meant almost the same as {dangcho} have developed into aye through similar processes, suggesting that some of negative polarity items in Korean can be understood to be a secondary class closely associated with contexts of negation on th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