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70년대는 중학교 무시험제도와 고교평준화제도의 시행으로 중등학교 취학률이 상승하였고 여학생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 시기 국가 교육정책의 특징은 국민정신교육의 강화로서, 정부는 중고등학생들에게 국가주의 교육을 철저히 시행하였고, 강력한 군사주의 아래 여성교육은 전통의 부덕을 함양하고 산업화에 적응하는 현대적 현모양처의 육성을 목적으로하였다. 여학생은 희생정신을 가지고 국가에 봉사하며 미래의 현모양처를 준비하는 존재로 사회적으로 형상화 되었고, 한편으로 미숙한 존재로 상정되어 통제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여학생을 향한 사회적 관념이 동일하게 모든 여학생에게 적용되어 내면화된 것은 아니었다. 여학생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전통적 가치관보다 진취적이고 신념있는 여성상을 추구하였다. 하이틴문화를 본격적으로 형성하고 그것을 향유하는 문화집단으로 등장한 여학생들은 사회문제나 학교에 대해서도 자기 의견을 피력하며 자신을 향한 가벼움의 시선에 맞섰다. 정권의 교육방침과 사회의 담론에 맹목적으로 순응하거나 함몰되기보다 사회 현실에 대해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하면서 여학생들의 자의식은 성장해가고 있었다.


The biggest institutional features of secondary education in the 1970s were the implementation of the middle school no examination system and the high school leveling system. As a result, the enrollment rate of secondary school increased and the number of girl students increased rapidly. The characteristic of national education policy during this period is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 mental education. The government thoroughly implemented statist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under strong militarism, women's education aimed to cultivate the virtues of the tradition and to cultivate a modern, present-looking wife that adapts to industrialization. Girls were embodied as beings who served the country with a spirit of sacrifice and prepared for the future. On the one hand, the girl was idealized as a lively girl, but as an imperfect being, she became an object of control. As time passed, the girls pursued a more progressive image of women rather than traditional values. Girls formed teen culture and emerged as a cultural group to enjoy it. Girls confidently expressed their opinions on social issues and schools. They did not comply with the regime's educational policy and social discourse, and maintained a critical attitude toward social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