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에 古代人의 서사 습관을 꾸밈없이 그대로 전해주는 금석문, 목간 등 출토 문자 자료가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해 漢字 한 글자 한 글자의 사용 상황을 자세히 고찰함으로써 한자의 시대적 및 공간적 특성을 찾아낼 수 있게 되었고 한자의 구체적인전파 과정과 루트도 재현할 수 있다. 본고는 “岡”자를 예로 중국에서는 시대별, 지역별로 어떻게 사용되었으며 이러한시대적・공간적 특성이 동아시아 각국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중국과 한반도, 일본과의 소통・교류 관계를 밝힌 것이다. 그 결과 한반도와 일본에 전해진 “ ” 글자체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어 양진시기, 남북조시기를 거쳐 수당시기까지 사용된 귄위있는 글자체이었으며 이러한 글자체가 고구려, 신라를 통해 일본열도에전파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Recently, data such as inscriptions on ancient bronzes and stones and Wooden Documents have been increasing. This allowed us to know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to discover the histor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Thus, the specific propagation process and root of Chinese characters can also be reproduced. This paper considered how the “岡” character was used in China, for example, by era and region. It also revealed its communication and exchange relations with China,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by examining how these histor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ffected East Asian countries. As a result, we could see that the “ ” which was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was a dignified writing style that was used from the Sanguo(三國) period of China to the Liangjin(兩晉) period and Suitang(隋唐) period. And we were able to reveal that these letters were introduced to Japan through Goguryeo(高句麗) and Silla(新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