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진성리더십, 직무열의, 직무소진, 이직의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감정노동 강도에 따른 변인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국내 서비스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2.0 및 AMOS 22.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과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진성리더십은 직무열의,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직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열의는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 강도에 따라서는 고강도 및 저강도 집단 모두 진성리더십이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감정노동 고강도 및 저강도 집단 모두에서 직무열의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소진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열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감정노동 저강도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서비스직 리더의 진성리더십이 직무열의를 통하여 구성원의 직무소진, 이직의도를 완화할 수 있으며 이들 변인간의 관계가 감정노동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감정노동 강도에 따른 다양한 변인 간 영향관계를 비교 검토해야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job engagement,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n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n the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To this end, this paper carried out a survey on domestic service workers. then, conducted bo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multi-group analysis by using IBM SPSS 22.0, AMO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authentic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but not on turnover intention. Also, job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burnout and not turnover intention, and job burnou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Regarding the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authentic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engagement, but not on job burnout or turnover intention in both the high and low labor intensity group. In addition, job engagement affected job burnout and job burnout affected turnover intention in both the high and low labor intensity group among the emotional labor field. On the other hand, job engagement affected turnover intention only in the low labor intensity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