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201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중국에서 출판된 정규 대학 기관용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자음의 발음 교육 자료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나아가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음의 발음 기호를 제시하는 데에서 평음을 무성화된 유성음으로 표기해야 한다고 보았다. 기본 국제 음성 문자에 무기음임을 나타내는 구별 기호 ‘◌ ̿ ’를 붙여야 경음의 올바른 음가, 무기음임을 나타내는 구별 기호 ‘◌ʰ’를 붙여야 격음의 올바른 음가라고 보았다. 자음 분류표 같은 경우, 초급 한국어 학습자에게 제시할 때 치마찰음과 경구개 파찰음을 묶어서 설면전음으로 분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하였다. 또한 /ㄹ/의 조음 방법을 유음으로 기술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하였다. 발성 유형을 기술할 때 ‘松音(평음), 緊音(경음), 有氣音(격음)’이라는 용어 들을 사용하는 것이 학습자들에게 ‘평․경․격음’의 발성 유형에 파악하는 데에서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보았다. 실험음성학적 분석 결과, 한국어 평음에 비해 경음은 중국어 무기음과 더 유사하다.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한국어의 자음을 가르칠 때, 한국어 평음의 발음이 중국어 무기음의 발음과 다르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 materials of consonants pronunciation and to examine problems in Korean textbooks for regular university institutions, published in China from 2010 to the present. Furthermore, to suggest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First of all, in presenting the pronunciation symbols of consonants,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unvoiced lax consonants should be marked as voiced consonants. Secondly, the phonetic value can be approved only if when the separator‘◌ ̿ ’is attached to the basic international phonetic character for tense consonants, and ‘◌ʰ’for aspirated consonants. Thus, when presenting consonants systematically for beginner Korean learners, it is not desirable to classify them as lingual frontal consonants by combining the voiceless dental fricative consonants and voiceless palatal affricate consonants. Moreover, It is more appropriate to describe the articulation method of /ㄹ/ as a fluid consonant. Lastly, when describing the types of vocalization, the use of the terms "lax consonants", "tense consonants", and "aspirated consonants" would be a great help to learners in grasping the different types of "lax․tense․aspirated" consonants. As a conclusion, it is proved that when teaching Korean consonants to Chinese-speakers Korean learners,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pronunciation of Korean lax consonants are different from Chinese unaspirated conson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