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근대 계몽기에 한글 학습서로 사용된 『초학언문』을 대상으로 하여 판본에 따른 내용, 표기 및 음운 현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초학언문』은 미국인 감리교 선교사 마가렛 벵겔(Margaret J. Bengel)이 저술한 초학자용 한글 학습서다. 1895년 초간본 발간 이후 여러 차례 수정 간행되었으며 현재 전해지는 판본은 초간본 외에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소장의 연대미상 8판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의 1909년판이 있다. 연대미상본과 1909년본은 초판(1895)의 내용에 한글 학습 자료 두 공과와 읽기 자료 네 편이 더해졌다. 추가된 읽기 자료는 성경 이야기 한 편과 설명문 세 편인데 설명문은 모두 국한혼용문으로 되어 있는 『신정심상소학』(1896)에 실린 이야기를 순한글로 바꾼 것이다. 연대미상본과 1909년본 사이에는 내용이 달라진 것이 없다. 다만, 행정 구역을 설명하는 글에서 평안북도 감영의 위치와 항구를 관장하는 관원명의 수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로 보아 연대미상본은 1896년과 1897년 사이 어느 시기엔가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초학언문』의 표기상의 특징으로 ‘ㆍ’의 표기, 어두 ‘ㄴ’과 ‘ㄹ’ 표기, 경음의 표기, 어중 ‘-ㄹㄴ-’의 표기, 종성의 표기, ㅎ종성 체언의 표기, 치찰음 아래에서 이중 모음의 표기를 살펴보았다. 같은 시기에 발행된 국한혼용문 국어 교과서에서 ㅅ계 합용 병서와 ㅂ계 합용 병서를 사용한 것과 달리 『초학언문』에서는 ㅅ계 합용 병서만 쓰였다. 또한 ‘ㄷ, ㅅ, ㅈ, ㅊ, ㅌ, ㅎ’ 종성을 중화음 [ㄷ]이 아닌 ‘ㅅ’으로 표기한 것이 특징적이다. 주로 분철 표기가 이루어졌으나 일부 중철과 재음소화 표기 방식이 사용되었다. 표기의 변화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ㆍ’의 변화지만 변화 양상에서 어떠한 경향성을 도출하기는 어렵다. 다만, 『초학언문』(1895)보다 『초학언문』(1909)에서 더 일관성 있는 표기를 보인다. 음운 현상으로 구개음화, 원순모음화, 고모음화, 전설모음화, ㄹ탈락을 살펴보았다. ㄷ구개음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특징적이다. 원순모음화는 실현형과 미실현형이 공존하며 고모음화와 전설모음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ㄹ탈락은 ㄹ이 유지된 형태와 탈락된 형태가 모두 나타난다.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contents, transcriptions, and phonological phenomena based on Chohakeonmun, a Hangul textbook for beginners written by Margaret J. Bengel, an American Methodist missionary. This is written in Hangul and was used as a textbook at Pai Chai College. The surviving publications are the first edition (1895), eighth edition (publication dates unknown), and a version published in 1909 (edition unknown). The eighth edition and the one published in 1909 contain two more chapters for studying Hangul and four more reading materials than the first edition (1895). The additional reading materials are one episode from the Bible and three pieces of expository prose, all of the latter being drawn from the Shinjungsimsangsohak (1896) and translated into Hangul.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the eighth edition and the one published in 1909 except for the location of Gamyeong (the seat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in North Pyongan Province and some names of positions in a text explaini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 Therefore, the publication date of the eighth edition is estimated between 1896 and 1897. Transcriptions of “ㆍ,” an anlaut “ㄴ” and “ㄹ,” a hard consonant, a word-medial “-ㄹㄴ-” and a final consonant, and a diphthong after sibilants are transcription features of Chohakeonmun. Chohakeonmun used only “ㅅ” consonant clusters, while other Korean textbooks written in mixed scripts and published during the same period used “ㅅ” consonant clusters and “ㅂ” consonant clusters. Also, there is the feature of writing final “ㄷ, ㅅ, ㅈ, ㅊ, ㅌ, and ㅎ” as “ㅅ” instead of [t ̚]. Separate spellings were mainly used, but there were some cases of double spelling and double phoneme writing being used. The largest change in transcriptions is the change in “ㆍ.” However, it is hard to determine tendencies from this change. Finally, the 1909 edition shows more consistent transcriptions than the first edition. We examined palatalization, vowel rounding, vowel raising, vowel fronting, and “ㄹ” dropping as phonological phenomena. One feature is that “ㄷ” palatalization rarely occurred. Vowel rounding consists of both applied and unapplied forms, and vowel fronting rarely occurred. “ㄹ” dropping appears with forms in which “ㄹ” is both maintained and elimin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