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제 무역이 급증하면서 전통적인 제조업 생산 단계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업무에 더 집중하는 다국적 무공장 기업(factoryless goods producer, FGP)이 생겨났다. 본 연구는 공간모형(spatial model)을 이용해 2008~2014년 기간동안 우리나라 도소매 산업 내 FGP의타기업에 대한 생산성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동일 산업 내 기업간 네트워크 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였다. 둘째, FGP가 동일 산업의NFGP(비FGP)에 양의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셋째, FGP는 동일 산업의 NFGP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넷째, NFGP의매출액 크기가 클수록 FGP의 파급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난 2010년 전후로인해 발생한 우리나라 도소매 산업의 주요 성장의 요인으로 FGP와 같은 혁신기업의 역할이있었음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With the rapid increase in international trade, multinational factoryless goods producers (FGP) have emerged and they focus on high value-added service activities mov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manufacturing stage. This study analyzes the spillover effect of the FGP on other firms’ productivity in wholesale and retail industries of Korea during the period of 2008~2014 using a spatial model.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twork effect between firms in a same industry. Second, FGP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NFGP (non-FGP) in a same industry. Third, FGP was not affected by NFGP in the same industry. Fourth, the larger the sales of NFGP, the greater the spillover effects of FGP wa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activity of innovative firms such as FGP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growth of the wholesale and retail industry during the period of 2008~2014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