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모의 지역사회 안전인식이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가족과정모델과 강압이론을 근거로 한 가족과정요인과 부모감독, 또래관계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해 실증적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한국아동패널 9차, 10차년도에 모두 참여한 895가구의 어머니와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이 적절한 모형적합도를 보였으며, 모의 지역사회 안전인식은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가족과정요인과 강압이론 요인 중 부모감독을 통해 간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던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영향요인에 대해 단편적인 변수관계 검증이 아닌 지역사회 요인에서부터 가족요인, 또래요인이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이르는 경로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관계를 이론적연계를 통해 규명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community safety perception as a factor of the mezzoand macro system on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to confirm whether family processfactors, parental monitoring, and peer relationships have mediating effects based on family process modeland coercion theory by empirical dat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95 households mother and childrenwhose participated in the survey on the 9th and 10th wave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direct and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search model set in this study showed appropriate model fit, and mother’scommunity safety perception did not directly affect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but it wasfound that it had indirect effects through family process factors and parental monitoring. This study is meaningfulin that it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path from community factors to family factors and peer factorsto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rather than a fragmentary variable relationship verification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hich were relatively unstudiedthan adolescents, and examined these relationships by applying theoretical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