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수업 환경이 변화하는 과정에 따라 시각장애학교 교사들의 수업의 경험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시각장애학교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과 대면 수업에 대한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활용하여 대면 면담 및 전화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업 경험에 대한 분석 결과 첫째, 온라인 수업 준비: 맨땅에 헤딩, 둘째, 온라인 수업 실행: 교사들의 고군분투, 셋째, 대면 수업과 온라인 수업 병행: 혼란을 이겨내고 있는 현재, 넷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의 미래 준비: 내년에도 설마 전화로 수업을? 4개의 상위 범주와 9개의 하위 범주가 구성되었다. 결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시각장애 교육현장에서 온라인 수업을 통한 교육의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교사, 시각장애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정보접근에 대한 교육 및 직관적인 플랫폼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시각장애학교의 온라인 수업을 위한 보조공학 활용교육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experience of teachers in visually impaired schools in the changing teaching environment in the Corona 19 situation. Method: Offline interviews and tele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teachers in visually impaired school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or online and offline classes. Results: First, online class preparation: Start from scratch. Second, online class execution: Struggling teachers. Third, mixed online and offline classes: Overcoming confusion Fourth, future preparation of students living in the post-corona era: Taking classes by phone again next year? This study contains 4 upper categories and 9 subcategories. Conclusion: In order to cope with the post-corona era, it was confirmed that education and intuitive platform support for teachers and visually impaired students are necessary to ensure the efficiency of online classes education.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for online classes at schools with visual impairments was suggested.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Corona 19, Visual Impaired School Teacher, Class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