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용』을 경(經)⋅전(傳) 체제 로 해석한 성호의 『중용질서(中庸疾書)』의 체제에 대해 살펴보고, 그의 경⋅전 체제 『중용』 해석의 의의와 한계점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성호는 『중용』 2〜11장을 ‘공자 중용’인 경(經)으로 보아 핵심내용이라고 하였고, 12〜32장을 ‘자사 중용’인 전(傳)으로 보아 경을 설명하는 내용이라고 하였다. 그는 『중용』을 공자가 중용의 도를 세상에 실현하기 위하여 경세적인 입장을 밝힌 경전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입장에 주목하여 『중용』을 해석하였다. 성호의 『중용』 해석은 독창적인 경전 이해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중용』을 시작하는 말, 공자 중용, 자사 중용, 맺음말 체제로 나누었고, 1장을 공자 중용의 원리를 설명한 내용이라고 하여 『중용』 해석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하였다. 둘째, 중용의 도가 인간관계의 기본인 오륜의 실천으로부터 시작된다고 설정하여 주체자의 실심(實心)을 강조하였다. 셋째, 공자 중용의 내용을 중용의 지극함과 중용이 현실에서 행해지지 않는 것에 대한 공자의 안타까움, 중용의 도가 행해지던 과거의 증명, 중용지도의 미래 전망 등 이라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자사 중용은 공자 중용을 알기 쉽게 설명하여 실천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것은 그가 『중용』을 개인의 도덕 실천은 물론이고, 경세적인 의미까지 담고 있는 경전으로 해석하여 『중용』의 효용성을 강조한 것이다. 성호의 『중용』 해석에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도 나타난다. 첫째, 경과 전으로 나누었으나 주자의 33장 구조를 그대로 따름으로써 주자의 분장 구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했다. 둘째, 2〜11장을 공자 중용으로 보는 이유를 2〜11장 안에 다른 사람이 말이 없고 문장이 ‘중니왈’, 또는 ‘자왈’로 시작되며 문장의 체제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자사 중용 부분에서도 ‘자왈’로 시작되는 장이 6개나 되며, 문장의 체제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설명도 하지 않았다. 셋째, 수장을 공자의 말이 간략하고 어려운 것을 염려하여 그 근원을 추구하여 자사가 썼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것의 정확한 근거나 설명을 제시하지 못했다. 넷째, 『중용』을 성(誠)을 위주로 하는 책이라고 하였고, 『중용질서』의 후반부에서 성에 대해 중요하게 다루었다. 그러나 그는 성(誠)을 공자 중용의 지⋅인⋅용을 부연 설명하는 보조 개념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경전해석은 성리학적 풍토에서 실학으로 이어지는 전환기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Seongho’s 『Jungyongjilseo (中庸疾書)』 that is divided and interpreted as 『Jungyong』 into the system of Saint writing (經) and a wise man's writing (傳), as well as investigating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his interpretation of 『Jungyong』 in the system of Gyeong and Jeon. Seongho interpreted 『Jungyong』 considering Chapter 2 to Chapter 11 of 『Jungyong』 as Saint writing (經) of ‘Confucian Jungyong’, and from Chapter 12 to Chapter 32 as a wise man's writing (傳) of ‘Zisi Jungyong’. Confucian Jungyong is the core content, and Zisi Jungyoung is a part giving additional explanation of Confucian Jungyong. He understood 『Jungyong』 as the scripture making Confucius’s administrative position clear in order to realize Confucius’s Jungyongjido, and interpreted 『Jungyong』 as focusing on this stance. The interpretation of 『Jungyong』 with the Gyeong and Jeon system is Seongho’s original method, and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he divided 『Jugyong』 into preface, Confucian Jungyong, Zisi Jungyoung, and postface. He gave his own ingenious opinions in the interpretation of 『Jungyong』, e.g. understanding the first chapter as that which explained the principle of Confucian Jungyong. Second, he set the morality of Jungyong as beginning from the practice of Ohryun (the five moral disciplines), the basis of human relationships, and emphasized a principal agent’s sincere heart (實心, sincerity). Third, he thought that Confucian Jungyong as Gyeong included the contents of the trueness of Jungyong, Confucius’s pity for that Jungyong was not in practice in the reality, the verification of the past when Jungyongjido was performed, and the prospect of the future of Jungyongjido, and he understood Zisi Jungyong as the structure to explain it. Therefore, he stressed the usefulness of 『Jungyong』 by interpreting 『Jungyong』 as the scripture covering not only personal practice of ethics but also administrative meanings. Yet, Seongho’s interpretation of 『Jungyong』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he divided it into Gyeong and Jeon, but he followed Zhuxi’s 33-chapter structure as it was, so failed to overcome the problems in Zhuxi’s chapter division structure. Second, he explained that he thought Confucian Jungyong was from Chapter 2 to Chapter 11 because there were no writings from others, the sentences began with ‘Zhongni says’ or ‘Zi says’, and the sentences had different systems from Chapter 2 to Chapter 11. Yet, Zisi Jungyong also has as many as six chapters beginning with ‘Zi says’, and he didn’t explain how the structures of the sentences were different. Third, he inferred that regarding the first chapter, Zisi pursued the origin worrying that Confucius’s words were brief and difficult. However, he couldn’t offer the accurate grounds or explanations for this. Fourth, he said that 『Jungyong』 was a book focusing on diligence (誠), and dealt with Seong importantly in the latter part of 『Jungyongjilseo』. But, in his interpretation, Seong remains as a supplementary concept additionally explaining Confucius’s Jungyong Ji(knowledge), In(benevolence), and Yong(cou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