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순실 사태’, ‘조국대전’, ‘인국공 사태’ 등 일련의 사건을 계기로 공정성이 우리사회의 화두로 떠올랐다. 그와 함께 공정성이 훼손됐다는 인식이 확대될수록 사회갈등이 커진다는 주장이 보편화되고 있다. 과연 그럴까? 이 연구는 우리사회의 공정성 인식을 독립변수로, 사회갈등 인식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두 변수 사이의 인과성을 측정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이러한 관찰이 경험적으로 증명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 우리 국민의 공정성 인식과 사적・공적 소통수준 간의 관계를 살펴본 후, 공・사 소통수준과 갈등 인식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공정성 인식이 낮을수록 사적・공적 소통수준이 저하되며, 갈등 인식 수준은 높아졌다. 반면 국민의 사적・공적 소통수준이 높을수록 갈등 인식수준은 낮아졌는데, 사적소통이 공적소통보다 갈등 인식 수준을 낮추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사회의 갈등 인식수준을 낮추기 위해 개입해야 할 정부의 정책적 지점이 민・관 사이의 공적 소통 영역에 한정되어선 안 되고, 사적 소통 영역으로까지 확장되어 건강한 공론장의 형성과 유지에 힘써야 함을 시사한다.


The decline in fairness in Korean society is leading the angering people to the stage of protest. In addition, fairness issues are being used as political propaganda, creating conflicts among the people and dividing Korean society. Some emphasize the role of government, while others stress the role of civil society. Thus, this study design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nalyze three points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fairness and that of confli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fairness and the level of private and public communi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rivate・public communication and conflict awarenes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lower the level of fairness awareness, the higher the level of conflict awareness. In addition, the higher the level of private and public communication, the lower the level of conflict awareness; in particular, private communication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conflict awareness more effectively than public communication.